아하
검색 이미지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솔직한도롱이80
솔직한도롱이8021.01.29

우리나라가 물부족국가라고 어렸을 때 배웠는데 물부족의 기준이 무엇인가요??

우리나라가 물부족국가라고 어렸을 때 배웠는데 물부족의 기준이 무엇인가요??

현재 대한민국 사람이 물이 부족해서 마시지 못하고 씻지 못하는 현상이 없어서 물부족국가라는 것이 납득이 되지 않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건장한직박구리91입니다.

    1990년대 국제인구행동연구소(PAI) 라는 민간 단체에서 전 세계 국가들을 대상으로 물 부족 국가를 분류 하였고 이에 한국이 `물부족` 국가로 분류되자 정부 및 환경단체에서 사실 확인 없이 `한국은 물 부족 국가이다` 라는 캠페인을 벌였고

    이로 인해 대다수의 시민들에게 `한국은 물부족 국가` 라는 인식이 생겼습니다

    허나 이는 잘못된 사실로 애시당초에 국제인구행동연구소는 공신력 없는 민간단체에 불과하며 해당 발표의 근거 자료 또한 터무니 없이 엉터리였습니다

    수자원은 배제하고 단순 `강수량` 및 `인구밀도`만으로 물 부족 국가를 나누었으니까요

    또한 UN 및 식량 농업 기구(FAO)에서 공식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한국을 비롯한 북한, 즉 한반도는 전 세계 기준으로도 `물 풍요` 국가에 해당됩니다.

    `물 기근` `물 스트레스` `물 풍요` 순으로 국가의 등급이 정해졌으며

    기준으로는 재생가능한 수자원의 1000 미만 `기근` 1000~1700 `스트레스` 1700 이상 `풍요` 로 나뉘어졌으며 한국은 전 세계 147개국 중에서 43위로 등급이 정해졌습니다


  • 대한민국은 물 부족 국가가 아닌 되려 물 풍요국가 입니다.

    그런데 왜 이런 물 부족 국가라는 어이없는 이야기가 나왔나 하면

    90년대 국제인구행동연구소 PAI 라는 민간단체에서 국가들을 조사해서 물이 부족하다고 분류했습니다.

    (국제인구행동연구소에서는 어떻게 물 풍요, 기근, 부족으로 나누었냐 하면 단순히 (강수량-유출수/인구수)로 계산하였습니다.)
    그런데 그런 민간단체에서 뿌린 찌라시로 인해 정부는 물론이고 언론과 환경단체에서도 제대로 확인조차 하지 않은채 우리 나라는 UN이 정한 물 부족 국가입니다라며 공익캠페인을 벌였습니다.

    되려 UN산하의 단체인 식량농업기구인 FAO에서는 한국은 물 풍요 국가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관련 질문에 대해 명쾌하게 설명해줄 수 있는 유튜브영상이 있습니다. 링크 남깁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34aaKzX3Fsc


  • 물 부족 국가의 기준은 재생가능한 수자원의 양이 1인당 1,000㎥ 이상에서 1,700㎥ 이하인 국가를 물 부족 국가로 정의합니다.

    사실 1990년대 국제인구행동연구소(PAI; Population Action International)에서 전 세계 국가들을 대상으로 조사하여 통계를 냈었는데 이때 저희 나라가 물 부족 국가에 들어갔습니다.

    허나 PAI는 국제단체가 아닌 민간단체이며, 사실 우리나라는 물 풍요 국가 군에 속합니다.

    2006년 세계물포럼에서 발표한 '물 빈곤지수(Water Poverty Index)'에서 대한민국은 전 세계 147개 국 가운데 43위로 물 자원에 대한 위험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위와 같이 수자원의 양이 1인당 1,000㎥ 이상에서 1,700㎥ 이하라는 것은 절대적인 기준이 아닙니다.

    우리나라 같은 경우 땅 면적이 적고 인구밀도가 높아 PAI의 물 부족 국가 기준에 들어가는데요, 사실 우리나라는 수돗물을 마실수 있는 몇안되는 국가이며, 물을 많이 쓰는 벼 농사 비율도 높습니다. 또한 우리 나라는 수도 시스템이 잘 되있어서 수자원 활용률도 높구요.

    결론적으론 PAI의 물 부족 국가는 우리나라에는 적합하지 않은 기준이며, 우리나라는 물 부족 국가가 아닌 "물 풍요 국가"에 속합니다.

    허나 수자원을 마구잡이로 낭비하면 우리도 언젠가 물 기근 국가가 될 수 있으니 아껴 쓰는것을 추천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