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도 세포로 이루어져 있는데 그럼 물도 생물이라고 할 수 있는건가요?
세포는 생물체를 이루는 기본 단위입니다.
세포에는 세포막이 있습니다.
세포막은 확산을 하는데요, 그 예 첫번째로 물에 잉크를 넣으면 물 전체가 잉크색으로 변합니다. 그럼 액체도 생물체라고 할 수 있나요?
두번째 예로 향수 마개를 열면 멀리서도 향수 냄새를 맡을 수 있는 것, 음식 냄새가 집 안에 퍼져 나가는 것, 바람이 불지 않아도 연기가 주변으로 퍼져 나가는 것을 들 수 있는데요. 그럼 기체도 생물체 인가요?
세포막은 삼투압에 의해 물이 이동할 수 있습니다.
물은 세포로 이루어져 잇지 않으며 물분자가 모여 물이됩니다. 잉크가 물에서 퍼지는것은 잉크분자가 물분자 사이사이에 끼어들어가며 섞이는것이지 물이 세포라는 증거는 아닙니다. 공기도 마찬가지로 공기중의 기체분자들사이에 냄새입자가 섞여들어가는것이지 공기가 세포는 아닙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물이나 기체는 생물체로 취급하지 않습니다. 생명체는 크게 원핵생물과 진핵생물로 나뉘며 원핵생물은 핵과 막성세포소기관이 없는 생명체로서 세균과 고세균을 말합니다. 진핵생물은 핵과 막성세포소기관이 있는 생명체이며 동물, 식물, 균류, 원생생물이 있습니다. 물이나 기체 상으로 입자가 퍼져나가는 것은 확산에 의한 현상입니다.
안녕하세요. 김경태 전문가입니다.
물과 액체, 기체는 확산이 일어날 수 있지만, 생물체로 분류되지는 않습니다. 생물체는 생명이 있는 유기체로서, 대사활동을 수행하고 세포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물, 액체, 기체는 물리적인 성질을 가지고 있어서 확산이 일어날 수 있지만, 생물체의 정의에는 해당하지 않습니다.
세포는 생물체의 기본 단위이며, 세포막은 확산을 통해 물질을 이동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물질의 확산이 일어나는 것은 물리적인 현상이지만, 이것이 생물체의 정의와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것은 아닙니다.
물, 액체, 기체는 생물체가 아닙니다. 세포와 확산 현상은 생물과 무생물 모두에서 관찰될 수 있지만, 생물의 정의는 더 복잡합니다. 생물은 대사, 성장, 생식, 자극에 대한 반응 등의 특성을 가지며, DNA를 포함한 유전 물질을 가집니다. 물이나 다른 액체, 기체는 이러한 특성을 갖고 있지 않으므로 생물로 분류되지 않습니다. 확산은 단순히 물질의 자연적인 이동 현상일 뿐, 생명 활동의 증거가 아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