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능으로 문이과 모두를 잘하는 사람도 있을까요?
노력없이 수학머리가 타고났다, 언어머리가 타고났다하는데 좌뇌와 우뇌중 한쪽이 발달되어 그런거잖아요, 그러면 뇌 전체가 좋으면 소위말하는천재라고 불리는건가요?
안녕하세요. 홍성택 전문가입니다.
문과와 이과를 모두 잘하는 사람도 있을 수 있습니다. 뇌의 구조와 기능은 매우 복잡하고 다양하기 때문에 한 분야에 특화된 능력을 가진 사람도 있지만, 다른 분야에도 뛰어난 능력을 발휘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뇌의 좌뇌와 우뇌가 각각 다른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는 이론은 널리 알려져 있지만, 최근 연구에 따르면 뇌의 기능은 좌뇌와 우뇌의 협력에 의해 이루어진다는 것이 보다 정확한 시각입니다. 따라서 뇌의 전체적인 발달과 기능이 뛰어난 사람들이 소위 '천재'로 불리기도 합니다.
재능은 복잡하고 다면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어, 단순히 좌뇌와 우뇌의 발달로 설명하기는 어렵습니다. 실제로 많은 연구에서 좌뇌-우뇌 이분법은 과도하게 단순화된 개념임이 밝혀졌습니다. 문과적 능력과 이과적 능력 모두에서 뛰어난 사람들은 분명 존재하며, 이들은 종종 '르네상스형 인재' 또는 '박학다식한 천재'로 불립니다. 이런 사람들은 보통 전반적으로 높은 지능과 함께, 다양한 분야에 대한 강한 호기심, 학습 능력, 그리고 창의성을 갖추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런 능력도 순수한 '타고난 재능'만으로는 설명할 수 없으며, 대부분 지속적인 학습과 노력, 그리고 다양한 경험의 결과입니다. 따라서 '천재'라는 개념은 단순히 뇌의 발달 정도나 타고난 재능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복합적인 요인들의 결과로 볼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윤보섭 전문가입니다.
현대 인류 수준에서 뇌는 아직까지도 미지의 영역이 많이 남아있는 신체 부위입니다. 현대 신경과학 연구에 의하면 대부분의 뇌 인지 기능은 뇌의 여러 부위가 복잡하게 연결되어 작동하는데, 수학이나 언어 능력도 단순히 한쪽 뇌의 발달로 설명할 순 없고 오히려 양쪽 뇌의 다양한 영역이 협력하여 이루어진다는게 현재까지의 정설입니다. 따라서 특정 분야에 뛰어난 능력을 보이는 것은 해당 기능과 관련된 뇌 네트워크의 효율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죠.
소위 천재라고 불리는 사람들은 단순히 뇌 전체가 발달했다기보다는 특정 인지 기능들이 매우 뛰어나게 발달했거나 여러 인지 기능들이 균형 있게 발달한 경우를 말합니다. 그러한 이유에는 유전적, 환경적, 경험적, 학습적 요인 등 다양한 이유가 존재하구요. 또 창의성이나 문제 해결력, 정보 처리 속도 등도 모두 중요한 뇌 기능의 요소입니다. 따라서 천재성이라고 하는 것은 뇌의 효율적인 작동과 다양한 인지 기능들의 상호작용에 의해 결정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