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부동산 이미지
부동산경제
부동산 이미지
부동산경제
심심한개미112
심심한개미11222.12.19

아파트 말고 일반 주택의 경우 시세는 어떻게 따지나요??

아파트의 경우 주변에 거래 가격으로 대충 우리집의 시세를 알수있는 반면에 주택의 경우에는 어떤식으로 시세를 판단하나요? 평수와 입지가 비슷한 평균거래량이라도 있으면 유추가가능할텐데 그런게 없으니 시세를 판단하기가 어렵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곽대영 공인중개사입니다.


    일반주택은 아무래도 아파트보다는 시세를 알기 어렵기는 합니다.

    그래도 수도권같은 경우는 거래가 아예 없는게 아니다보니 그 동네에서 거래되는 몇 안되는 다른 사례등을 참고하기도 하구요. 공시가격의 1.5배, 2배등으로 따져보기도 합니다.

    또한 다가구라면 근생 건물들처럼 그 집에 들어 있는 임대 내역등으로 수익률을 따져보고 가격을 책정하기도 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유창효 공인중개사입니다.

    사실상 단독주택의 경우 주변에 비슷한 구조와 평형의 비교대상을 찾아 실거래가격을 비교하여 적정한 시세을 알수 있지만, 이도 정확하다고 할수는 없습니다. 대부분은 주변부동산등을 돌면서 시세를 문의하여 평균적인 가격으로 생각하시는 게 좋을 듯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조장우 공인중개사입니다.


    주택시세는 부르는게 가격이고 시세입니다.

    사실 주택이라는것이 아파트와는 다르게 거래가 잘 이루어지지 않을 뿐더러 비교할만한 시세가 없어서 가격산정이 어렵긴 하지만 그래도 주변 땅값 그리고 연식 월 수익 전세금 등을 비교하면서 적정가를 산정해봐야 할듯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