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정형외과

짓굳은파카118
짓굳은파카118

스포츠 손상중 급성손상에 해당하는 뼈의 골막손상은 정확하게 무엇인가요??

성별
남성
나이대
20

스포츠 손상중 급성손상에 해당하는 뼈의 골막손상은 정확하게 무엇인가요?? 아무리 찾아봐도 골막손상에 대한 답을 찾지 못하였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송진영 물리치료사입니다.

      골막손상은 뼈를 싸고 있는 얇은 막인 골막이 충격 등으로 찢어지거나 손상된 상태를 말합니다.

      급성 스포츠 손상에서 흔히 발생하고 넘어지거나 부딪혀 강한 외부 충격을 받을 때 생길 수 있습니다. 통증, 부기, 멍 등이 생기지만 엑스레이에서 뼈에 이상이 없어도 증상이 나타납니다 치료는 대부분 보존적이고 심할 경우 mri로 확인합니다!

    • 안녕하세요. 채홍석 의사입니다.

      골막손상은 골좌상이라고 하며 여기에는 골막하 혈종, 골간좌상, 연골하 병변등의 종류가 있습니다.

      추천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유민혁 의사입니다.

      골막(periosteum)은 의 가장 바깥층을 둘러싸고 있는 결합조직층입니다. 골막은 혈관과 신경이 풍부하며, 의 성장과 재생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골막 손상(periosteal injury)은 외력에 의해 골막에 염증이나 파열이 발생하는 것을 말합니다. 스포츠 활동 중 발생하는 급성 골막 손상은 주로 과사용(overuse)이나 반복되는 스트레스에 의해 나타납니다. 격렬한 운동으로 인한 근육의 견인력이 골막에 미세 손상을 일으키게 됩니다. 달리기, 뛰기 등의 운동 시 경골(정강이뼈) 골막 손상이 표적인 사례입니다. 경골 앞쪽 부위에 통증과 부종이 나타나는데, 이를 일반적으로 '경골 통증 증후군(shin splint)'이라고 부릅니다.
      골막 손상의 증상으로는 압통, 부종, 발적 등이 나타나며, 손상 부위의 통증으로 인해 운동 수행에 어려움을 겪게 됩니다. 급성기에는 손상 부위의 안정을 취하고 냉찜질과 소염진통제 복용 등의 증요법을 시행합니다. 이후 점진적으로 운동 강도를 높여가며, 관절 가동범위 운동과 스트레칭을 병행하게 됩니다. 과사용에 의한 골막 손상을 예방하려면 운동 강도를 적절히 조절하고, 꾸준한 스트레칭과 유연성 운동으로 근육과 건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손상이 반복된다면 신발 교체, 훈련 방식의 변경 등을 고려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