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1.04.30

동전 모양은 왜 동그랗게 만들었을까요?

해외여행을 여러나라 다니면서도 동그란 동전 말고 다른 모양의 동전은 본적이 없는것 같은데 왜 전부 동그란 동전밖에 없는걸까요?

세모모양 같은 경우는 뾰족해서 다칠수 있어서 안될것 같다는 생각은 드는데 네모모양 같은 경우는 괜찮을 것 같은데 굳이동그랗게 만든 이유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배부른불곰203
    배부른불곰20321.05.02

    원래 오래전에 사용하던 동전과 같은것은 우리나라는 조개 껍대기 같은것을 금전으로 대용했습니다. 물론 그때는 옷을 안입었으니 끈과 유사한 것으로 묶어다니거나, 그릇 비슷한것으로 담아가지고 다녔습니다.
    이후에는 옷이 생겼습니다. 그래서 문화가 조금 발달한 시기에는 엽전이라해서 둥근모양이지만 가운데 구멍을 내서 이곳을 이용하여 묶어가지고 다니다보니 분실의 위험도 없고 또한 많은 양을 묶어서 사용을 하니 셈을 하기도 쉬웠습니다.
    이때쯤부터 둥근 모양의 동전이 나왔는데 동전이 모가 나거나 했다면 몸에 지니고 다닐때 스쳐서 몸이 불편하죠. 그러나 둥근것은 몸에 별 무리를 주지 않기에 지금의 동전 모양이 둥근 모양이 된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보험 분야 지식답변자 김화식 보험전문가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여러가지 이유가 있는데 가짜주화 제조를 방지하는 목적이 있고 동전분류시 각이 있으면 분류가 어렵고 보관 및 말아서 관리시 모양을 맞춰 모아야되서 관리가 어렵습니다.

    코인을 기계에 넣을시 굴러가야 되는 이유도 있을것이고 안전사고의 위험 감소도 있을것으로 사료 됩니다.


  • 안녕하세요.

    동전은 일반적으로 둥글지만 북아일랜드는 3각형, 인도/이라크 등은 4각형, 호주/스리랑카 등은 6~12각형 동전이 존재합니다.

    동전은 보관을 오래하고, 마모를 최소화하기 위해 둥글게 만들었다고 합니다.

    동전끼리 부딪히거나, 바닥에 떨어질 경우에도 둥근 모양이 각진 모양 보다는 압력에 강합니다.


  • 정확한 유래는 없지만

    유추해서 답변을 드리자면

    네모는 동전을 찍어서 나올 때

    모서리 부분이 부드럽지 못하고

    거칠게 나옵니다

    그럼 위험하지 않게 모서리 부분을

    부드럽게 처리를 해야합니다

    모서리가 세모처럼은 아니라도

    그래도 위험합니다

    주변에 있는 생활 속 물품들을

    둘러보세요

    네모 모양인데 대부분

    모서리를 둥글게 처리한 것이

    많을거에요

    핸드폰을 보셔도 되겠네요

    특히 동전은 딱딱하기 때문에

    모서리가 각이 있다면

    상당히 위험한 일이 벌어질 수도 있지요

    질문자의 말처럼

    처음에는 여러 모양으로

    만들어졌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근데 여러 과정을 통해

    둥근 모양이 가장 안전하고

    유용하다고 판단되어

    지금의 둥근 동전이 유지되고

    있지 않을까 유추해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