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개월 아이가 까치발로 계속 걷는것이 자폐하고 연관이 있나요??
친구가 얼마전에 아이가 자폐 스펙트럼이라는 진단을 받았는데요. 까치발로 계속 걷고 뭔가 말하는게 어눌해서 갔는데요. 까치발로 걷는것도 자폐의 증상이라고하던데,,,,29개월 아이가 까치발로 계속 걷는것이 자폐하고 연관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승호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까치발을 한다고 해서 무조건 자폐는 아닙니다. 두돌전까지 아이들에게 까치발은 비교적 흔하게 나타났다 사라지는 패턴 중 하나이기 때문이예요.
다만 다른 증상이 같이 나타난다면 정밀검사를 받아보셔야 합니다.
정서적 교감, 무반응, 호명반응 미비 등 을 체크해주세요.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29개월에 까치발로 걷는 행동이 나온다고 해서 이것을 자폐랑 연관지을수는 없습니다.
이시기에는 아이가 걸음에 대해서 재미를 느끼고 흥미를 느끼기에 자주 보이는 패턴중하나로 볼수있으며
이것외에도 자폐스펙트럼의 행동들이 다양하게 보이고 발달상 지연도 보여야 할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까치발로 걷는다고 해서 자폐 라고 단정하긴 어렵습니다.
발을 모두 바닥에 닿는 촉각적 느낌이 싫어서 일부로 까치발로 다니는 아이들도 있기 때문 입니다.
대부분 경우에는 까치발에 대한 특별한 이유는 없습니다.
아직 걷는 것이 익숙하지 않기 때문에 발에 힘을 주기 위해 나타나는 모습이기도 합니다.
무게 중심이 어른과 다르기 때문에 균형을 잡기 위해 까치발을 드는 것일 수도 있어요.
하지만 만3세 이후에도 까치발이 오래 지속된다면 정확한 진단은 병원에서 받는 것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황석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연관이있다고볼수있으나
까치발은 아이들이 자주하고재미있어하는것이기에
단순히 까치발이 자폐라고보긴어렵답니다
안녕하세요. 유미선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특발성 첨족보행으로 어떤 특정동작을 했을때 흥미를 느껴 반복적으로 하는경우로 까치발 역시 아기들에게 많이 관찰되며 3살이지나면서 좋아지는경우가 많습니다.
자페 스펙트럼의 경우는 까치발 하나만 갖고 판단하긴 어려우며 사회성 저하및 다른양상이 동반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안녕하세요. 임경희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개인적인 의견입니다.
자폐의 경우 걸음걸이가 어눌하게 걷긴해요.
하지만 29개월 아이가 까치발로만 걷는다고 자폐진단 보다는 여러가지 소견이 있었을꺼라 생각드네요.
아이가 까치발로 왜 걷느지, 다른 이유가 있는지, 다른것은 이상이 없는지 등 다양하게 관심을 가지고 지켜보신 후 병원에 가는것이 좋을듯해요.
안녕하세요. 양미란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36개월 이전의 아이는 까치발을 걷는 아이들이 많아요
그렇기에 까치발로 걷는다고 하여 무조건 자폐가 발생한다고
볼수는 없어요
안녕하세요. 전중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만 3세까지 까치발을 드는 아이들의
자폐 스팩트럼 증상을 보이는 경우도 있습니다.
만 3세까지는 아이가 별다른 것이 없어도 까치발을 들기도 합니다.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자폐스펙트럼은 보통3세 이전부터 증상이 나타난다고 합니다
대표적인 증상은 보호자와의 애착 행동이나 상호작용에 대한 흥미가 떨어지는 게 보통 입니다
까치발과의 인과 관계가 있는지는 병원에서 상담을 하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까치발을 한다고 하여 아이들이 모두 자폐라고 볼 수는 없습니다.
하의발달의 마지막 단계로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손가락끝 발가락끝까지 발달을 마쳐야 신체발달을 다 하는거라 합니다
최근 연구결과에 의하면 보통 만3세 이후 소실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아이의 발달과 성장에 문제가 없다면 너무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너무 걱정되신다면
병원을 방문해보시는 것도 좋습니다. 참고하세요.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까치발로 걷는다면, 쭈그려 앉았을 때도 발바닥이 바닥에 닿지 않는다면, 병원에 가야 합니다
까치발로 걷는 것은 아이가 호기심에 그렇게 걸을 순 있답니다
하지만, 앉는 자세도 그렇다면,병원 진료를 봐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