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mz에는 어떤 생물이 살아가나요??
비무장지대라서 환경도 엄청 깨끗하다고하는데 희귀한생물체들이 많이 살아가고있나요?? 멸종위기종도 많아있을까요????
안녕하세요. 박근필 수의사입니다.
DMZ는 인간의 간섭이 적어 생태계가 잘 보존되어 다양한 동·식물이 서식하는 지역입니다. 희귀 동·식물과 멸종위기종이 다수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멸종위기종인 산양, 반달가슴곰, 여우, 수달 등의 포유류와 검독수리, 사향노루, 등 다양한 종들이 서식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DMZ의 생태계에 대한 정보는 군사적 목적 때문에 완전히 공개되지 않고 있으며, 지속적인 연구와 관찰이 필요한 실정입니다. DMZ의 생태계 보존을 위해서는 군사적 목적과 생태계 보존의 조화로운 접근이 중요합니다. 단순히 "환경이 깨끗하다"는 표현은 DMZ 생태계의 복잡성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합니다. DMZ는 인간의 간섭이 적은 자연 그대로의 생태계를 유지하고 있지만, 동시에 분단이라는 특수한 상황으로 인해 인간의 영향으로부터 완전히 자유로운 것은 아닙니다.
안녕하세요.
비무장지대(이하 DMZ) 일원에 멸종위기 야생생물 108종을 포함해 야생생물 6789종이 사는 것으로 나타났는데요, 국토 전체면적의 2%가 채 안되는 지역에 멸종위기 야생생물(282종)의 38.3%, 전체 생물종(6만여 종) 중 11.3%가 살고 있습니다. DMZ 일원은 DMZ와 민간인통제선 이북지역(이하 민북지역)을 포함하는 공간인데요, DMZ는 군사분계선 기준 남북측 2km, 민간인통제선(이하 민통선)은 군사분계선 이남 10km입니다. 국립생태원이 민북지역을 안전이 확보된 경로를 통해 조사하고 DMZ내는 무인생태조사 카메라로 야생생물을 관찰해본 바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생명체들이 서식하고 있습니다. 첫번째는 담비인데요, 멸종위기 야생생물 Ⅰ급인 이 종은 노란 털로 노란목도리담비는 귀여운 외모와는 다르게 먹이 피라미드 꼭대기에 있는 최고의 포식자로 쥐나 참새는 물론 고라니, 멧돼지와 같은 큰 동물도 사냥할 수 있습니다. 다음으로 DMZ는 세계적인 멸종위기종인 두루미와 재두루미의 월동지로 매우 중요한데요, 전국에 분포했던 두루미는 현재는 민북지역에서 98%이상 월동하며, 멸종위기 야생생물 Ⅰ급인 두루미와 Ⅱ급인 재두루미는 전 세계 생존개체수의 약 50%가 철원평야를 중심으로 연천, 파주를 월동지로 이용하고 있습니다. 두루미는 국제자연보전연맹(이하 IUCN) 적색목록 '위기(EN, Endangered)', 재두루미는 '취약(VU, Vulnerable)'종입니다. 이외에도 반달가슴곰이 서식하고 있는데요, 2020년에 처음으로 DMZ 무인생태조사 카메라에 포착된 성체 반달가슴곰이 포착되었으며, 일제강점기 밀렵‧서식지 훼손 등으로 개체 수가 급감한 반달가슴곰은 멸종위기 야생생물 Ⅰ급으로 지정됐고, 국제 멸종위기 등급은 '취약(VU, Vulnerable)'종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
실제로 멸종위기종들이 자유롭게 살아갈 가능성이 높고, 멧돼지나 고라니등등의 개체수도 인간이 개입하지않아 매우많습니다.
감사합니다.
비무장지대(DMZ)는 오랜 기간 인간의 간섭이 적었던 곳이라 자연 생태계가 잘 보존되어 있고, 덕분에 다양한 생물들이 서식하고 있습니다. 특히 희귀하고 멸종위기에 처한 생물들이 많이 살고 있어 생태학적으로 매우 중요한 지역입니다.
DMZ에는 우리나라 멸종위기종의 약 37.8%에 해당하는 101종이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두루미와 산양, 사향노루, 표범장지뱀, 수달, 검독수리, 열목어, 반달가슴곰 등 다양한 종들이 DMZ를 터전으로 삼고 있습니다.
또한 DMZ에는 곤충, 식물, 조류, 포유류 등 다양한 생물종이 살고 있으며, 특히 다른 지역에서는 보기 힘든 희귀 식물들도 많이 자생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DMZ는 인간 활동이 제한된 덕분에 자연이 복원되어 다양한 생물들이 서식하고 있습니다. 멸종위기종인 산양, 삵, 수달, 저어새 등이 발견되며, 희귀한 조류와 포유류, 양서류도 풍부합니다. 특히 DMZ는 한반도의 중요한 생태축으로서 생물 다양성이 높아 학술적 가치를 지니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