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구매후 보험처리 관련 질문드립니다
자동차 구매시에 개인명의로 했는데
보험료가 비싸서 부모님 밑으로 들어가야되는경우
이경우엔 자동차 지분이 없는 상태에서도 가능한가요?
아니면 꼭 자동차 지분이 있는 상태여야 가능한건가요?
안녕하세요. 안창훈 보험전문가입니다.
본인 명의로 자동차를 등록한 경우 부모님 명의로 자동차 보험을 가입할수 없습니다.
자동차 보험은 차량 명의자와 동일한 명의로 가입을 해야 합니다
가능한 방법으로는
부모님을 공동명의로 추가등록
부모님 보험의 가족특약 활용
부모님의 보험 경력을 본인 보험에 적용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보험사별로 상이하니 확인이 필요합니다.
안녕하세요. 문효상 보험전문가입니다.
차량 주피보험자의 경우에는 소유 또는 지분이 있으셔야 가능합니다.
그렇기에 자동차 보험에 지분을 넣으셔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마희열 보험전문가입니다.
지분이 없어도 부모님 자동차보험에 운전범위가 맞다면 운전 가능합니다,
자동차를 구매하여 초기에는 부모님과 공동명의로 지분을 나누어서
부모님 1% 질문자님 99% = 공동명의
자동차보험은 부모님 명의로 하고 운전범위는 질문자님까지로 (가입경력지정 필수=3년 이상)
나중에 질문자님으로 차량의 지분 전체를 가지고 올 예정이라면 위처럼 지분 나누는게 좋아요.
(추후 이전시 비용이 덜 들어갑니다)
자동차보험은 자동차명의자가 가입을 해야 합니다.
부모님 명의로 가입을 하기위해서는 자동차명의가 조금이라도 부모님에게 있어야 합니다.
공동명의로 한 다음 가입을 하시면 됩니다.
안녕하세요. 이원태 보험전문가입니다.
자동차보험을 가입할 수 있는 사람은 반드시자동차소유자여야 합니다 공동명의자로 지분은 상관이 없습니다 그자동차의 소유자라야 하기 때문에 1이라도 지분이 있어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진오 보험전문가입니다.
우선 지분이 약 1%라도 있어야 합니다.
즉, 공동명의로 가입하기 위한 최소 조건이 1% 이기에
없으시면 어렵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