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조선시대에도 출산장려 정책이 있었나요?
현대에는 많은 국가들이 출산장려 정책을 펼칩니다. 조선시대는 농경 기반의 사회였기에 인구가 중요했을 것 같은데, 조선시대에도 출산장려 정책이 있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이동광 전문가입니다.
조선시대에도 출산장려정책이 있었습니다.
대표적으로 공노비에서 남성들의 출산 휴가 제도가 있습니다.
세종실록 1434년 4월 26일 세종대왕은 남자의 출산휴가를 형조에 지시했는데, 여종이 임신을 하거나 산후 100일 안일 경우 만 30일 쉬게 해줬다는 것입니 다. 출산과 산후조리의 도움을 받지 못하면 여성의 출산휴가가 무슨 소용이 있겠냐면서 남편에게도 휴가를 주었다고 합니다.
또한 다둥이 육아에게도 금전적 지원을 했습니다. 셋 이상을 낳으면 아들딸 구분 없이 쌀과 콩 10석을 하사했다는 것인데, 당시 쌀은 높은 가치였다는 점을 감안하면 엄청난 금액을 지원한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