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빼어난양241
빼어난양24123.10.19

나토는 어떻게 탄생하였으며 나토의 핵심 국가는 어디인가요?

나토의 역사는 100년도 안되던데요. 최근 러시아 우크라이나 사태로 이슈가 된 나토는 어떻게 탄생하였으며 나토의 핵심국가는 어디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황정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나토(NATO)는 1949년 4월 4일에 미국, 캐나다, 영국, 프랑스, 벨기에, 룩셈부르크, 네덜란드, 노르웨이, 덴마크, 아이슬란드, 이탈리아, 포르투갈, 그리스 등 12개국이 참여하여 설립된 군사동맹입니다.


  •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NATO의 기원은 1948년에 영국, 프랑스, 벨기에, 네덜란드, 룩셈부르크 등 5개국이 모여 시작 되었고

    1949년 4월에 기존의 7개국에 노르웨이, 덴마크, 아이슬란드, 이탈리아, 포르투갈이 추가로 참여한 12개국이 워싱턴에서 조약을 맺음으로써 ‘워싱턴조약’에 근거한 NATO가 출범을 하게 되었습니다,미국,영국 이 아무래도 힘이 있는 기준이 아닐까 판단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10.19

    안녕하세요. 이승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NATO는 북대서양조약기구입니다.

    제2차 세계대전 후 체결한 북대서양조약의 수행기구이며

    1949년 조인된 북대서양조약을 기초로 미국, 캐나다, 유럽 10개국 등 12개국이 참가해 발족시킨 집단방위기구입니다. 본부는 벨기에 브뤼셀에 위치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나토는 1949년 4월 유럽의 여러 국가와 미국, 캐나다 간에 서유럽에 대한 군사적, 경제적 원조를 내용으로 하는 조약이 체결되며 출범했습니다.

    제 2차 세계대전 뒤 미국, 소련의 냉전이 격하되는 가운데 바르샤바 조약 기구 등에 따른 소련 및 동유럽의 사회주의 진영에 대항하며 자본주의 옹호를 위한 군사 동맹망의 중요한 일부를 형성하여 가맹국 군대로 조직된 나토 군이 배치, 최초 가맹국은 미국, 영국, 프랑스, 이탈리아, 베네룩스 3국, 포르투갈, 덴마크, 노르웨이, 아이슬란드, 캐나다 그 뒤 터키, 그리스, 서독, 에스파냐가 가맹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1917년 러시아혁명을 통해 소비에트사회주의연방공화국(USSR)이 수립되고 2차 세계대전 이후 소련과 위성국가들이 바르샤바조약기구(WTO)가 수립되자 이에 맞서 미국 영국 프랑스 등을 중심으로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를 결성하였습니다. 나토는 미국 영국 프랑스 이탈리아 벨기에 네덜란드 룩셈부르크 포르투갈 덴마크 노르웨이 아이슬란드 캐나다 그 뒤에 그리스와 터키(1952년) 서독(1955년) 에스파냐(1983년)가 가맹하였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북대서양 조약 기구인 나토는 냉전이 시작된 1949년, 집단안전보장조약인 북대서양

    조약에 의해 탄생한 북미와 유럽 등 서방

    국가들군사 동맹입니다. 본부는 벨기에의 수도 브뤼셀에 위치하며, 미국, 캐나다, 영국, 프랑스, 이탈리아, 노르웨이 등 북미 지역 2개국과 유럽 10개국의 12개 나라로 출범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순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나토는 1949년 4월 4일에 창립되었습니다. 이 조약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동·서 국가 간의 긴장 관계와 공산주의 미국의 전략적 연합체로서 탄생하였습니다.

    주요 핵심국가:


    나토에 가입한 회원국 중에는 주요 핵심국가들이 있습니다. 이러한 국가들은 나토의 핵심 구성원으로, 조약의 규정과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주요 핵심국가로는 미국, 캐나다, 영국,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등이 있으며, 이들 국가는 나토의 군사 작전 및 의사결정 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나토의 주요 임무는 회원국 간의 상호방위, 안정과 안보 유지, 국제평화 유지, 테러리즘 대응, 국제협력 등입니다. 나토는 창립 이후 다양한 국제 분쟁과 위협에 대응하며 국제 평화와 안보를 강화하는 역할을 수행해 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