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뽀얀굴뚝새243
뽀얀굴뚝새24324.02.11

명목금리/실질금리가 있던데 어떤 차이가 있나요?

용어 자체로 보면 이해가 가는 용어이기는

합니다만 실질적으로 명목금리는 왜 생겼는지가

궁금하고 이 두 용어의 차이를 설명 부탁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명목금리는 인플레이션을 반영하지 않은 금리를 말하며

    실질금리는 인플레이션을 반영한 금리를 말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 우선 명목금리는 액면 그대로의 금리를 의미하며 실질금리는 물가상승률이 적용된 금리 입니다.

    • 예를들어 기준금리가 3.5%이고 물가상승률이 2%대로 진행될 경우 실질 금리는 1%로 적용되는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명목금리와 실질금리는 사실상 채권금리를 표시할때 자주사용하는데, 명목금리는 액면가로 발행된 금리를 말하며 실질금리는 채권을 중간에 매입한 경우 액면가와 액면이자율을 받았을 때 실제 채권을 매수한 가격으로 나누어 산출하게 되는 금리를 말해요

    예를 들어서 본다면 만기 1년짜리 액면가 100원, 이율 3%인 채권을 중간에 99원에 매수를 하게 되는 경우 명목금리는 액면이율인 3%라고 한다면 실질이자율은 [100원+3원/99원 =4.04%]가 되는 것이에요


  • 안녕하세요. 이상열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은행에 예금을 했을 때 10% 금리를 받는다고 가정했을 때 명목금리가 10%입니다.

    그런데 인플레이션이 5%가 있다고 가정하면 예금 금리 10%를 받았지만, 인플레로 손해보는 금리 5%를 제하고나면 실질금리는 5% 받에 되지 않습니다.

    이 경우, 명목금리는 10%, 실질금리는 5%가 됩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금융전문가, 인문·예술 전문가 조유성 AFPK 입니다.

    ✅️ 명목금리는 인플레이션을 감안하지 않는 있는 그대로 눈에 보이는 금리를 의미하고, 실질금리는 명목금리에서 인플레이션을 뺀 말그대로 예금자 등이 실질적으로 받을 수 있는 수준의 금리를 뜻합니다. (* 인플레이션을 두고 각각 명목, 실질이라는 용어가 생긴 것이죠. )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명목, 실질 금리의 차이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명목금리는 겉으로 보이는 금리이며

    실질은 실제로 적용되는 금리입니다.

    즉, 시중에서 발표되는 금리는 명목금리이고

    실질금리는 명목금리에서 물가상승률을 제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