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역사

활달한파리매77
활달한파리매77

우리나라의 댐 역사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뉴스를 보니 우크라이나가 댐을 파괴하여 러시아에 피해를 보고 있다고 하니 문득 우리나라에는 언제 최초로 댐이 건설되었으며 최초에 댐에 이름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기록으로 볼 때

      우리나라 최초의 댐은

      서기 330년 신라 흘해왕 때 축조된

      김제 벽골제라고 합니다.

      이 댐은 우리나라 댐 발전사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최초 댐은 삼국사기에 나오는 김제 벽골제 입니다.

      서기 330년경 백제인들이 4.3m높이의 제언을 1800보에 걸쳐 축조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준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1920∼1941년 건설된 256개의 관개용 댐을 형식별로 분류하면 흙댐이 252개(98.5%), 중력식 콘크리트댐이 4개(1.5%)로 대부분이 흙댐으로 되어 있습니다. 8 · 15광복 이래 오늘에 이르기까지 우리나라의 댐 건설은 3기로 크게 나눌 수 있습니다. 제1기는 광복 이후 휴전 성립까지의 댐 건설과도기이고, 제2기는 6 · 25전쟁 후 휴전 성립에서 1961년까지의 댐 건설전진기이고, 제3기는 1962년 제1차 경제개발5개년계획 이후 오늘에 이르는 댐 건설개화기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은 시대 구분에 따라 각 시기별 댐 건설내용을 요약하면, 제1기는 광복 후의 혼란과 정부의 재정 빈약으로 광복과 더불어 중단되었던 댐 공사의 진행에 급급했던 시기입니다. 관개용 댐으로 전라남도 함평의 대동댐(높이 16m, 흙댐, 1949)을 비롯하여 27개의 댐이 모두 흙댐으로 건설되었고, 생활용수 댐으로는 부산의 회동댐(높이 28m, 중력식 콘크리트댐, 1946)이 준공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강경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의 댐 건설은 아픈 역사를 담고 있습니다. 1920년대부터 지어진 댐은 대부분 일본의 군수공장에 전기를 공급하는 역할로 건설되었고, 또 그 건설 과정에서 수많은 조선인 노동자들이 안전사고로 목숨을 잃었다고 합니다.


      구한말과 일제강점기 때 물 관리는 이렇듯 안타까운 역사를 담고 있답니다.

    • 한국의 댐 건설 역사는 한강과 낙동강을 주요 대상으로 한 여러 댐 프로젝트를 통해 시작되었습니다.

      한국에서 가장 먼저 건설된 대규모 댐은 1967년에 건설이 시작되어 1973년도에 완공된 수리산댐(현재의 안동댐)입니다. 이는 수자원의 효율적인 이용과 물 부족 문제 해결, 홍수 피해 예방 등을 위해 건설되었으며, 그 후로 수십 개의 대형 댐이 건설되어 왔습니다.

      이어서 1974녰에는 세계에서 가장 긴 방조제인 섬진강 댐이 완공되었습니다. 이 댐은 물 관리, 홍수 예방, 전력 생산, 농업 용수 공급 등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되었습니다.

      1976년에는 한국에서 가장 높은 댐인 소양강댐이 완공되었습니다. 소양강댐은 댐 건설의 주요 목적인 전력 생산을 위해 건설되었으며, 그 결과 강원도의 전력 공급에 크게 기여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