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토목공학 이미지
토목공학학문
토목공학 이미지
토목공학학문
기쁜향고래의 노래
기쁜향고래의 노래24.01.29

물부족 국가의 기준은 어떻게 되나요?

물과 관련된 뉴스를 보다보면 실생활에서 물을 사용하는데 불편함이 없는데도 우리나라가 물부족 국가로 분류된다는 얘기를 듣습니다. 물부족 국가의 기준은 어떻게 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물과 관련된 뉴스를 보시면서 물 부족 국가로 분류된다는 얘기를 들으셨다니 불안하실 수 있겠네요. 하지만 실제로는 물 부족 국가로 분류되는 기준이 있습니다. 물 부족 국가는 매년 물 부족 지수를 측정하여 결정됩니다. 이 지수는 국가의 물 자원 수급과 수요를 비교하여 산출됩니다.

    물 부족 지수는 0부터 100까지의 범위로 나타나며 0에 가까울수록 물 부족 국가로 분류됩니다. 예를 들어 물 부족 지수가 20이라면 해당 국가는 물 부족 국가로 분류됩니다. 이 지수는 국가의 물 자원 수급 물 사용량 물 관리 정책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산출됩니다.

    그리고 유엔의 세계 물 개발 보고서에 따르면 인구 1인당 물 사용량이 1일 1700리터 이하인 국가는 물 부족 국가로 분류됩니다. 이는 물 사용량이 적은 국가일수록 물 부족 문제가 심각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우리나라는 물 부족 지수가 20 미만이며 인구 1인당 물 사용량도 1일 1700리터 이상이므로 물 부족 국가로 분류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물 부족 문제는 지속적으로 관리되어야 하는 문제이기 때문에 우리나라도 물 사용에 대한 적극적인 관리와 절약이 필요합니다.

    저희 나라는 물 자원이 풍부하지 않은 편이기 때문에 물 부족 국가로 분류되는 것은 아니지만 물 사용에 대한 적극적인 관리와 절약은 우리 모두의 책임입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


    물부족국가의 기준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재생 가능한 수자원량은 강수, 지하수,


    빙하 등 자연적으로 재생되는 수자원량을 말합니다.



    이 기준에 따르면, 1인당 재생 가능한 수자원량이 1,700㎥ 미만인 국가를 물 부족 국가로 분류합니다.


    물 스트레스는 물 수요와 물 공급의 비율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이 기준에 따르면, 물 스트레스 수준이 25~70%인 국가를 물 스트레스 국가로 분류합니다.



    이외에도, 물 부족 국가를 분류하는 기준으로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인구밀도가 높은 국가는 물 부족 국가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강우량이 적은 국가는 물 부족 국가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기후변화로 인해 강수량이 감소하거나


    빙하가 녹아서 물 부족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물 부족 국가는 재생 가능한 수자원량, 물 스트레스, 인구밀도, 강우량,


    기후변화 등의 요인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판단해야 합니다.

    세계 물위원회에 따르면


    2025년까지 전 세계 인구의 40%가 물 부족에 직면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물 부족 국가의 증가에 대비하여 물 관리 정책을 강화하고


    물 절약을 위한 노력이 필요합니다.


    답변이 마음에 드셨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박성학 과학전문가 입니다.

    '물 부족 국가'는 재생 가능한 수자원량이 1인당 1천㎥ 이상∼1천700㎥ 이하인 국가를 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