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밝은큰고니27
밝은큰고니2724.04.10

텃새의 경우 우리나라에서 겨울을 어떻게 나나요?

철새라면 날씨에 따라 이동을 하면서 먹이 활동을 하는데요. 이동을 하지 않는 텃새의 경우에는 우리나라에서 겨울을 어떻게 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별도 이동을 하지 않은 텃새의 경우 서로 집단 활동을 통해 추운 기온을 견뎌내게 됩니다. 이에 따라 기온이 낮아질수록 집단 활동성이 강해집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에서 겨울을 맞이하는 텃새들은 다양한 방법으로 추위를 이겨내고 생존합니다. 일부 텃새들은 겨울철에도 우리나라에 남아 있거나, 남쪽으로 이동하지 않고 겨울을 보냅니다. 이들은 먹이를 찾아 다양한 생존 전략을 활용하여 추위를 버티며 겨울을 견디게 됩니다. 또한 일부 텃새들은 먹이가 부족해지면 인공 먹이대나 사람들이 먹이를 주는 곳으로 이동하여 겨울을 보낼 수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텃새들은 겨울 추위를 견디기 위해 깃털을 부풀려 보온층을 만들거나, 다른 새들과 몸을 붙여 서로 몸을 따뜻하게 유지합니다. 또한, 체온을 유지하기 위해 더 많은 먹이를 먹기도 합니다.그리고 텃새들은 겨울철 먹이가 부족하고 추위가 혹독하기 때문에 대부분 겨울에는 번식하지 않습니다. 봄이 되어 날씨가 따뜻해지고 먹이가 풍부해지면 다시 번식을 시작합니다


  • 안녕하세요. 윤보섭 과학전문가입니다.

    텃새들은 겨울을 나기 위해 주로 군집생활을 하게 됩니다. 예시로 까치나 방울새 등의 새들은 여름에는 번식을 위해 흩어져 살지만 가을부터 겨울까지는 수십마리 이상이 무리지어 겨울을 보내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박준희 과학전문가입니다.


    그 겨울을 버텨낼 생존력이 있기에 텃새인거죠.

    겨울에 추위를 견내낼수 있고 먹이도 찾아낼수 있으니까요.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성학 과학전문가입니다.

    일년 내내 한 지역에 사는 텃새는 조금 다른 방식으로 겨울을 납니다. 곤줄박이는 깃털이 포근해 굳이 멀리 이사를 하지 습니다. 하지만, 겨울철 먹이를 구하는 문제는 여전히 남아있으며 먹이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곤줄박이는 겨울이 오기 전에 부지런히 먹이를 저장해 놓기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