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통 요즘 금리가 낮아서 종신보험을 저축개념으로 알고있는데
보통 요즘 금리가 낮아서 종신보험을 저축개념으로 이해하시는 분이 계시고 장기저축으로 인지하시던 분이 계시는데
맞나요? 금리는 일반은행보다는 확실히 높더라구요. 2금융권 저축은행 제외하고는
물론 깨버리면 손해인데 장기적으로 보았을땐 괜찮은 거 같더라구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보험 분야 지식답변자 김형수 보험설계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종신보험을 저축처럼 충분히 이용 하실 수 있습니다. 최저보증이율이라해도 시중금리 보다
높은 이율을 복리로 제공하니까.. 이만큼 매력있는 금융상품도 없습니다.
하지만 이렇게 좋은 혜택만 줄까요?
전혀 그렇지 않습니다. 종신보험은 기본적으로 사망보장을 하는 보험입니다.
그러므로 보험가입시 납입보험료에 대하여 갖가지 사업비에 위험보장금액 까지
차감이 됨으로 실지적으로 저축을위해 적립되는 재원은 상당히 낮습니다.
하지만 20년이상 유지가 가능한 경우에 한하여 상당한 혜택이 있으며
그것은 바로 복리로 이율이 불어나기 때문에 아무리 낮은 재원이라 하더라도
기간이 경과함에 따른 복리이율은 무시하지 못합니다.
최소 20년이상 납입이 가능하시고 납입 완료후 20년 ~30년을
예치 해두신다면 그 어떤 저축보다 높은 재원으로 환급을 받으실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보험 분야 지식답변자 이동훈 보험설계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장기저축으로 활용을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단!! 추가납입을 같이 하셔야 합니다.
기본 가입금액만 가입을 하시게 되면 일반형의 경우 환급율이 떨어지게 됩니다.
꼭 추가납입을 하셔야 합니다.^^
미해지 환급형의 경우엔 추가납입이 안되는 대신에 해지환급금이 더 높습니다.
10년 이상의 장기저축을 목적으로 하신다면 괜찮습니다.
더 궁금한 사항이 있으시다면 프로필 참조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상 함께걷는사람 이동훈 팀장이였습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보험 분야 지식답변자 프라임에셋 권민수 보험설계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종신보험은 사망보험금인 주계약인 보장성 보험입니다.
단기적으로 봤을때는 초기 납입기간 동안에 보험사에서 사업비를 많이 가져가기때문에 저축이라고 생각하시다가
유지를 못하실 경우 손해를 보게 됩니다. 하지만 납입기간이 끝난 이후로는 비교적으로 높은 확정금리와 복리로
불어나는 효과를 보실수 있습니다.
물론 아무리 환급률이 높아도 사망보험금보다는 높을 수 없습니다. 그래서 사망보험금이 주된 이유이기도 합니다.
보험이라는게 원래 똑같습니다. 유지를 못하시면 그 만큼 손해를 보시게 되시는 거죠
그래서 유니버셜이라는 기능도 생기게 된거죠
더 궁금한거 있으시면 쪽지나 메세지 남겨주세요^^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보험 분야 지식답변자 내가있을께입니다. 종신보험은 말그대로 사망을 담보하는 보험입니다.
하지만 높은 이율과 복리이자, 그리고 추가납입을 통한 복리효과로 인하여 저축의 목적으로
사용도 가능합니다. 저축의 목적으로는 확정이율의 경우에만 해당되며,
종신보험은 내가 낸 보험료의 약10~20%의 높은 사업비를 뺀 나머지만이 적립보험료로 적립이 됩니다.
그러므로 추가납입을 하지 않으면 저축의 목적으로 사용할 수 없고, 저축의 목적으로 사용하려면 현재
보험료의 1~2배수까지 추가납입이 가능하므로 적극적인 추가납입을 통해 원금도달을 최대한 빨리 해야
저축의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안녕하세요? 아하(Aha) 보험 분야 지식답변자 백래경 보험설계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간단하게
1. 확정금리 2. 복리 3. 10년 이후의 비과세 혜택 4. 상대적으로 낮은 리스크 대비 큰 환급률 5. 낮은 은행 이자
저축보험 원금+이자 < 종신보험 해지환급금이 되는 경우들을 볼 수 있습니다.
종신보험은 저축개념이 아닌 사망보장이 주 목적입니다.
다만 최소 20년, 30년 뒤 총 납입하신 금액보다 해지환급금이 크고 같은 방법으로 은행에 납부하고 이자를 늘리는 것보다 낫기도 합니다.
그래서인지 제 고객님들께서도 인터넷에서 돌아다니는 내용을 보시고 저축보험과 종신보험을 비교 요청들을 하십니다.
그리고 비교 후에 종신보험으로 준비하시는 분들도 많구요.
결국에는 고객님의 선택이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설계사에게 정확한 내용을 전달받고 가입하시는가?" 인 것 같네요.
실제로 종신보험은 저축보험이 아니기 때문에 저축보험이라고 얘기하면서 판매한 설계사들은 민원이 많기도 하구요.
정리해드리면 장기적 관점에서 고객님의 생각이 어느 정도 맞다고 저도 생각합니다.^^
보다 자세하게 궁금하신 부분들이 있으시면 카톡이나 모바일로 추가 문의해주세요.
친절하고 자세한 상담 약속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보험 분야 지식답변자 박혁순 보험설계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2020.8월 기준
종신보험을 저축개념으로 가져가기위해서
필수로 원금과 추가납입을 같이 진행한다면 가능하며,
원금회복기간은 상품마다 다르지만 10년사이로 보시면
될거같습니다. 물론 중도에 자금 필요시 인출이 가능한 상품
기준으로 얘기드립니다. 현재 2.85% 보증해주는 종신상품
존재하며 원금과 추가납입을 같이 진행할시 향후 메리트가 있는 상품임이 분명합니다. 납입종료후 예금처럼 쌓여있는 돈이
복리로 불어나고, 인출과 추가납입도 자유롭기에 활용성이
높습니다. 다만 분명 종신보험임을 명심하시며 잘 활용하면
득이 될것이고, 그렇지 않다면 독이 될수도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보험 분야 지식답변자 이주연 보험설계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종신보험을 저축이라고 생각하시면 안됩니다 ㅠㅠ 만약 whiteangels님께서 부득이하게 해지를 하시면 훨씬 손해를 많이 보세요.
장기처축으로 인식하시지마시고 정말 필요로 인한 보장을 알아보시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시구요
장기저축으로 인식하시려면 너무 큰 금액 (부담스러운 금액)으로 넣지 마시길 바랍니다.
일반은행보다 확실히 높지만 도중에 해지해버리면 생각보다 손해가 많이 큽니다 ㅜㅜ
궁금하신 점 있으시면 문의주세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보험 분야 지식답변자 채교현 보험설계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저축플랜으로 설명은 드리지만 저축보험의 개념은 아닙니다
하지만 충분히 매력 있는 플랜이긴 합니다
다만 공시이율 이 아닌 금리확정형 , 확정금리형 으로 준비 하시고
만일 공시이율 상품이라면 최저보증이율을 꼭 확인 해야 합니다
그리고 어떻게 설계를 하느냐에 따라 고객에게 좋은 저축플랜이 될수도 있지만 독이 될수도 있습니다
저 역시 전 보험회사를 취급하다 보니 각각의 장단점을 비교하지만 정말 많은 차이를 느끼실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보험 분야 지식답변자 김두만 보험설계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네.. 적용되는 금리로 보면 그렇습니다민
보험은 어쨌든 보험입니다 ㅎㅎ
일반적 저축과는 달리 사업비라는 것을 감안해야 하죠
그래서 중도 해약하게 되면 손실이 발생하는 것이구요
하지만 10년 이상의 장기로 보았을 때는
은항보다 높은 이율에.. 복리에.. 비과세에..
계획이 서있는 자산관리, 보험관리가 보완된다면
제로금리시대..
훌륭한 자산운용방법이 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