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떤 물체든 고열에 태워질때 검은색으로 변하는이유?
집에잇는 콘크리트부터시작해서 음식등등 고열에 노출되면 전부다 검은색 잿덩이로 변하더라구요. 나무도 마찬가지입니다. 물체가 불에 노출될경우 전부 검은색 으로 바뀌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물체가 고열에 노출되면 그 열은 물체의 표면으로 전달됩니다. 검은색은 빛을 흡수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다른 색상에 비해 더 많은 열을 흡수합니다. 따라서, 검은색 물체는 더 많은 열을 흡수하고 빠르게 열을 전도하여 내부로 전달합니다.물체는 열을 방출하는 복사를 수행합니다. 검은색 물체는 빛을 흡수하는 능력이 높기 때문에 더 많은 열 복사를 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고열에 노출되면 검은색 물체는 더 많은 열을 방출하게 되며, 이는 검은색으로 보이는 이유 중 하나입니다.
안녕하세요. 장대은 과학전문가입니다.
그건 바로 그을음 이라는 친구 때문입니다
그을음은 유기물이 불완전연소가 될 때 열분해에 의해 생기는 먼지 모양 검은 가루로 고운 탄소덩어리입니다
그래서 검은탄소라고도 불리죠^^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어떤 물체든 고열에 태워질 때 검은색으로 변하는 이유는 물체의 표면이 탄소로 덮이기 때문입니다. 탄소는 검은색을 띠는 물질이기 때문에, 물체의 표면이 탄소로 덮이면 검은색으로 변하게 됩니다.
물체가 고열에 노출되면, 물체의 구성 성분 중 탄소가 먼저 분해됩니다. 분해된 탄소는 표면에 쌓이면서 검은색의 층을 형성합니다. 이 층이 점점 두꺼워지면서 물체 전체가 검은색으로 변하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이충흔 과학전문가입니다.
대부분의 물체는 탄소, 수소, 산소, 질소 등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중에 연소하는 과정에서 수소와 산소는 수증기와 같은 형태로 날아갑니다. 또 질소는 안정적인 물질이라 크게 반응하지 않고 공기중으로 날아갑니다.
하지민 탄소의 경우 산소와 만나 이산화탄소나 일산화탄소 형태로 공기중에 날라가지만 산소와 반응하지 못한 탄소의 경우 검은 그으름이나 재로 남게 되며 이는 우리 눈에 검게 보이게 되는 것 입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좋아요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