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보름달빵단팥빵
보름달빵단팥빵23.08.17

고려시대 관료였던 시중은 어떤 관직이었나요?

고려시대에 국가기관들 중에서 시중이라고 있었다고 하던데 당시 왕과 조정에서 시중은 어떤 위치에 있는 벼슬이고 어떠한 일들을 하였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시중이라는 직책은 원래 신라에서 747년(경덕왕 6)에 집사성(執事省)의 중시(中侍)를 시중으로 고쳐 불렀고, 태봉에서도 최고정무기관인 광평성(廣評省)의 장관을 광치나(匡治奈)로 했다가 뒤에 시중으로 고친 적이 있었다고 합니다. 고려시대에는 성종 때 내사문하성(內史門下省)의 설치와 동시에 처음 두어졌으며, 문종 때 정원 1인, 종1품 관직으로 정해졌다고 합니다. 같은 종1품 직인 중서령·상서령이 주로 종친에게 수여되는 명예직이거나 치사직(致仕職)·증직(贈職)이었으므로, 유일한 종1품 실직으로서 명실상부한 수상직 이였습니다. 시중은 지금으로 말하면 국무총리 위원내객제에서는 수상에 해당 하는 직책 입니다.


  • 안녕하세요. 박세공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고려시대에 무하시중을 말하는 거겠죠.

    문하시중은 고려시대 중서문하성의 최고 관리로 실질적으로 정무를 담당하는 관직 중 최고위 관직이었습니다.

    982년(성종 1) 내사문하성을 설치하면서 처음으로 문하시중을 두었으며, 문종 때 내사문하성이 중서문하성으로 개칭되면서 중서문하성의 장관을 일컫게 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조사를 해본 결과 시중(侍中)은 고려시대의 3성 6부제 중 중서문하성의 최고 관직입니다. 중서문하성은 정무를 관장하는 기관으로, 시중은 중서문하성의 장관입니다. 시중은 종1품 관직으로, 왕의 명령을 받들어 정무를 처리하고, 왕을 보좌하는 역할을 합니다. 시중은 고려시대의 최고 관직으로, 문관의 최고직입니다. 시중은 고려시대의 정치와 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 추천 부탁드려요 ~좋은 하루 되세요 ^^


  •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고려시대에는 성종 때 내사문하성(內史門下省)의 설치와 동시에 처음

    두어졌으며, 문종 때 정원 1인, 종1품

    관직으로 정해졌다. 같은 종1품 직인

    중서령·상서령이 주로 종친에게

    수여되는 명예직이거나 치사직(致仕職)·증직(贈職)이었으므로, 유일한

    종1품 실직으로서 명실상부한

    수상직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