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약 복용 이미지
약 복용약·영양제
약 복용 이미지
약 복용약·영양제
로맨틱한발발이142
로맨틱한발발이14224.03.21

항생제 연고 일반의약품과 전문의약품 차이는 무엇인가요?

나이
44
성별
여성
복용중인 약
기저질환

항생제 연고의 분류 중 일반의약품과 전문의약품으로 나뉘던데, 어떤 차이가 있는건가요?

사용법이나 사용할 때 주의사항이 다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윤기 약사입니다.

    항생제 연고의 경우에도 안연고이면 전문의약품으로 분류되고 있고

    여드름 치료제인 경우에도 전문의약품으로 분류되고 있습니다.

    진료가 필요한 경우에 전문의약품으로 분류되고 있거나

    일반의약품에 비해 부작용이 경미하지 않은 의약품들이 전문의약품으로 분류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진성 약사입니다.

    성분에 차이가 있습니다. 특정 목적을 위하여 사용되는 연고나 안연고제는 전문의약품으로 분류가 되어 있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좋아요 눌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경 약사입니다.


    일반의약품 항생제 연고는 한정되어 있습니다.

    일반의약품 약국에서 처방전 없이 살 수 있는 것은 오남용의 위험이 전문의약품보다 낮은 것을 의미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좋아요 눌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더욱 궁금하신 점이 있다면 약료 게시판에 문의해주시면 성실히 답변드리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준하 약사입니다.

    전문의약품으로 사용할 수 있는 성분과, 일반의약품으로 사용할 수 있는 성분에 차이가 있습니다

    전문의약품으로 사용되는 성분들은 임의로 사용 시 내성발생위험성이 좀 더 높을 수 있으며,

    부작용이 나타날 가능성도 있습니다

    다만 일반의약품 항생제의 경우 알레르기와 같은 경미한 부작용들은 나타날 가능성은 좀 더 높을 수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사용 시 질환이나 부위, 증상의 정도에 따라 용법은 달라질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강희 약사입니다.

    전문의약품으로 분류된 경우 항생제에 강한 스테로이드성 소염제나 항진균제까지 같이 포함된 경우가 많습니다.

    항진균제가 포함되면 잘못 사용 시 내성 위험이 증가하고, 스테로이드의 강도가 높을수록 부작용 위험이 커지기 때문에 전문의약품으로 분류되는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홍조 약사입니다.

    보통 일반의약품과 전문의약품은 효과보다는 부작용의 정도에 따라 분류가 됩니다.

    따라서 부작용의 위험도나 빈도가 높은 경우 처방이 필요한 약으로 분류되며, 이러한 전문의약품은 장기간 사용 시에는 주의가 필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용학 약사입니다.

    일반의약품은 그 사용에 있어 더욱 안전하게 사용 가능한 성분들을 식약처에서 정해둔 것입니다.

    즉 처방이 필요한 전문약에 비해 그 안전성이 확립되어있는 약들이라고 보시면 되며, 그렇기 때문에 그 종류에 제한이 있습니다.

    따라서 약국에서 구입하는 일반의약품으로 해결이 안될 경우엔 전문의약품의 사용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및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송정은 약사입니다.

    항생제성분중에서도 안연고로 멸균처리되어 나오는 연고는 전문의약품으로 분류가 되어 있기에 처방이 있어야 구매가 가능합니다.

    코점막이나 눈점막에는 일반적인 항생제연고는 사용하면 안되며, 멸균된 안연고 사용이 필요로 되며 멸균된 안연고는 개봉을 하면 유효기간은 한달입니다.

    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라며, 도움되셨다면 '추천' 눌러주시길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