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기계공학 이미지
기계공학학문
기계공학 이미지
기계공학학문
풀리비비123
풀리비비12323.05.02

마스크를 쓰고 생활할때, 아이들의 언어발달이 느려지는 이유는 뭔가요?

코로나로 인해 3년간 마스크를 쓰고 생활했잖아요.

그래서 어린 아이들의 언어 발달이 지연된다고 하던데요.

왜 말을 안 한것도 아니고 마스크를 착용했을 뿐인데,

언어 발달이 느려지는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정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언어의 학습을 배울 때에는 청각적인 부분이 중요하지만, 시각적인 부분도 중요하다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마스크를 쓰게 되면은 언어를 배우는 아이들에게는 입모양을 통해 배울 수 있는 기회가 사라지게 됩니다. 그로 인해서 시각을 제외한 청각으로만 언어를 배우게 되므로, 언어의 학습이 느려지게 된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형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언어 입력량의 감소: 언어 발달은 많은 양의 언어 입력이 필요합니다. 마스크를 쓰면 상대방의 입술 움직임이나 언어적 제스처가 제한되므로, 아이들이 받는 언어 입력량이 감소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아이들은 언어적 경험을 축적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언어 발달의 핵심은 언어 모델링입니다. 언어 모델링은 언어를 듣고 배우는 과정으로, 아이들은 주변 환경에서 언어 모델링을 통해 언어를 습득합니다. 하지만 마스크를 착용한 성인은 아이들에게 언어 모델링을 제공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또 마스크를 착용한 성인의 입 모양과 얼굴 표정 등 시각적인 단서가 제한되면서, 아이들이 언어 발달에 필요한 시각적인 단서를 제한적으로 받게 됩니다. 이런 이유로 마스크를 쓰고 생활할때, 아이들의 언어발달이 느려지게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