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의료상담

피부과

공정한노린재74
공정한노린재74

대상포진 가려움 약을 먹어야 하나요?

나이
34
성별
남성
복용중인 약
기저질환

안녕하세요?

제가 얼굴 대상포진으로 치료를 하고 있는데요.

지금 약 3주정도 되었습니다.

대상포진이 있는 부위가 왼쪽 관자놀이, 눈밑, 코옆, 입술 등인데요.

대상포진 피부는 많이 가라앉은 상태인데 왼쪽 관자놀이쪽의 간지러움이 반복적으로 있다가 없다가 합니다.

간지러움 정도는 크지는 않지만 긁고 싶은 정도인데요.

그동안 피부과에서 약을 먹었는데 약 중에 항히스타민&항알러지약이 있었는데 먹기전과 후가 차이가 없었습니다.

지금은 약을 복용하지 않고 있는데요.

대상포진으로 인한 가려움이 참을 수 있을 정도이면 꼭 약을 복용할 필요가 없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괜히 참다가 가려움이 더 심해지거나 번지거나 하는 경우가 있을까요?

그리고 제가 3주가량을 계속 무피로신연고를 사용을 했는데 혹시 연고 때문에 그럴 수도 있을까요?

연고를 씻어내도 가려움은 계속 있더라구요.

약을 먹지 않아도 괜찮을까요?

좋은 답변 부탁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피부과 전문의 노동영 의사입니다.

    대상포진 후 가려움 때문에 고민이시군요.

    대상포진을 앓고 난 후 사람에 따라서 수개월 동안, 혹은 아주 길면 수년 동안 이환부위의 감각이상이나 통증이 지속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를 투고 포진 후 신경통 (Post herpetic neuralgia) 라고 부릅니다. 대부분 시간이 지날수록 점차 완화되는 경과를 보입니다.

    통증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지만 감각이상을 포함한 용어이므로 감각이 둔하다든지 가렵다든지 하는 이상 감각 모두 포함이 됩니다.

    현재 피부가 많이 좋아졌다면 무피로신 연고는 굳이 바를 필요가 없습니다. 가려운 증상은 점차 호전되게 되어 있습니다. 참을만 하다면 약을 복용하지 않아도 됩니다. 피부에 상처가 다 아물고 딱지가 떨어졌다면 로션을 수시로 발라주는 것이 가려움증 해소에 도움이 됩니다.

    답변이 되셨나요?

    질문자님의 적극적인 답변 추천, 좋아요 그리고 채택은 저희 답변자들에게도 긍정적인 피드백이 됩니다. 도움이 되신 답변에는 긍정적인 반응을 많이 해주셔서 앞으로 더 좋은 답변이 순환되게 해주세요!



  • 안녕하세요.

    가려움증에 대해서는 반드시 약을 복용이 필요하지는 않습니다.

    항바이러스제가 가장 중요하기 때문에 대상포진 자체가 호전된 경우

    통증이나 가려움증에 대한 약은 부수적으로 복용하는 약제인 것이

    사실입니다. Mupirocin 연고에 의해서도 가려움증이 있을 수 있고

    항바이러스 연고는 아니어서 끊어 보셔도 될 것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의사입니다.

    가려움이 심하다면 먹는게 좋습니다

    그로인해 불편하거나 긁으면서 이차감염이 될수있으니까요.

  • 안녕하세요. 남희성 의사입니다.

    대상포진은 바이러스가 신경을 손상시키는 질환입니다.

    신경손상이 가벼운 경우 통증이 아닌 가려움으로 발현될 수 있습니다.

    항바이러스제를 먹으셨을거라 간지러움을 방치한다고 더 심해지지는 않겠습니다.

    항히스타민제 약을 먹어도 증상이 같았다면 용량이 부족한 상황으로 여러가지 항히스타민제를 함께 복용하시는게 방법이 되겠습니다.

    무피로신은 항생제 연고로 간지러움의 원인일 확률은 낮습니다.

  • 안녕하세요. 서민석 의사입니다.

    대상포진이 발병하고 3주가 지났다면 급성기 증상은 해결되었다고 봐도 됩니다. 가려움증도 대상포진의 후유증으로 좀 더 오래 남을 수 있어요. 약 복용은 증상이 얼마나 불편하냐에 따라 달라집니다. 불편하면 먹고 안 불편하면 안 드셔도 됩니다.

    만약 너무 가렵다면, 특히 가려워서 잠을 자기 어렵다면 좀 더 졸린 항히스타민제를 자기 전에 1회 드시거나 신경통증에 대한 약으로 변경해보는 걸 고려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