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알뜰한다람쥐262
알뜰한다람쥐262

주식 매도시 이체여부 관련 질문입니다

한국투자증권이고 금일 주식을 매도했는데 원래 매도하면 D+2일 이체가 안되는걸로 아는데 매도금액이 출금가능이라고 돼 있길래 같은증권사 발행어음계좌로 이체시도해보니 출금시(익일 또는 D+2) 미수금이 발생할수 있습니다라고 뜨는데 이거 이체하면 어떻게 되는건가요? 수익났는데 수익금 전부 사라지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전문가입니다.

    주식을 매도한 후, 매도 금액은 D+2일에 정산됩니다. 현재 출금 가능으로 표시된 금액을 출금 시도하면 미수금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만약 미수금이 발생하면 해당 금액에 추가 이자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수익금이 사라지는 것은 아니지만 미수금을 상환하지 않으면 신용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따라서 D+2일 이후에 이체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주식을 매도한 후, 일반적으로 D+2일이 되어야 자금이 실제로 정산됩니다. D는 매도한 날을 의미하고, 2일 후에 매도 금액이 계좌에 정식으로 입금되는 방식입니다. 매도 당일에 "출금 가능"으로 표시되는 금액은 아직 정산되지 않은 금액이지만, 출금 가능으로 보여지기 때문에 혼란을 줄 수 있습니다.

    이 상태에서 이체를 시도하면 미수금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경고가 뜨는 것은 자금이 아직 정산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미수금이 발생하면 해당 금액에 대해 일정 기간 이자가 부과될 수 있으며, 큰 금액일 경우 추가적인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수익금 자체가 사라지지는 않습니다.

    따라서 D+2일이 지나 자금이 완전히 입금된 후에 이체나 출금을 진행하는 것이 가장 안전합니다. 미수금이나 추가적인 이자 부담을 피하려면 자금이 완전히 정산된 후에 거래를 진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아니요 위와 같은 경우에는 이체를 하게 된다면

    해당 금액만큼 다시 채워놓으셔야 하는 것인 등

    이에 따라 수익금이 전부 사라지는 것은 아니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강성훈 경제전문가입니다.

    수익금 전부 사라지지 않으며, 일부 차액에 대해서 미수금 입금요청이 있을수있습니다.

    해당 기능은 선입금서비스 사용과정에서 이틀치 이자에 대한 부분일듯 합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주식 매도시 이체하게 되면 어떻게 되나에 대한 내용입니다.

    이런 경우 미수금이 발생할 수 있다는 표시가 있는 것을 보면

    결국 미수금만큼 채워 넣으셔야 할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출금시(익일 또는 D+2) 미수금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은 D+2일에 미수가 발생하여 미수동결계좌로 지정되어 강제매매를 당할 수 있음을 알리는 안내입니다. 수익금 전부가 사라지는 것은 아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