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조용한문어80
조용한문어8024.03.16

우주에서 1세대 별을 아직 찾지 못한 이유가 무엇인가요?

우주가 생성되고 초창기에 생성된 별은 수소와 헬륨만으로 만들어졌다고 합니다.

근데 아직까지 초창기에 생성된 별은 관측이 안되고 있다고 하는데 이유가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충흔 과학전문가입니다.

    초창기에 생성된 별은 관측이 어려운 이유가 있습니다.

    빛의 산란과 빛 공해: 별 관측은 지구 대기가 별이 방출하는 빛을 왜곡하여 측정의 정확도에 영향을 미칩니다. 빛의 산란은 별의 가시성을 감소시키고 특히 인구 밀도가 높은 지역에서는 빛 공해를 유발합니다.

    거리와 크기: 초창기에 생성된 별은 매우 먼 거리에 있으며, 크기도 작아서 망원경으로 관측하기 어렵습니다. 또한 초창기에 생성된 별은 빛이 약하게 발산되기 때문에 더 어렵게 관측됩니다.

    우주의 복잡성: 초창기에 생성된 별은 우주의 복잡한 환경 속에서 형성되기 때문에 관측이 어렵습니다. 이러한 환경은 많은 다른 천체와 상호작용하며 별의 형성을 방해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초창기에 생성된 별은 관측이 어렵지만, 천문학자들은 더 나은 기술과 더 정교한 망원경을 통해 이러한 별을 관측하고 연구하고 있습니다. 미래에 더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기를 기대해 봅시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4.03.17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우주가 생성되고 초창기에 생성된 별은 수소와 헬륨만으로 만들어졌다는 이론은 맞습니다. 하지만 이론과 실제는 항상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래서 아직까지 초창기에 생성된 별을 관측하지 못하는 것은 이론과 실제의 차이 때문입니다.

    우리가 관측할 수 있는 별은 대부분 2세대 이상의 별입니다. 이들은 초창기에 생성된 별들이 폭발하면서 만들어진 물질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그래서 초창기에 생성된 별들은 이미 사라져버렸거나 매우 먼 곳에 있어서 우리가 관측하기 어렵습니다.

    그리고 초창기에 생성된 별들은 매우 뜨거웠기 때문에 빛이 매우 강하게 나왔습니다. 그래서 우리가 관측하기에는 너무 밝아서 관측이 어렵습니다. 하지만 최근에는 더 발전된 기술을 사용하여 이러한 별들을 관측하는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우주에서 1세대 별을 아직 찾지 못한 이유는 이론과 실제의 차이 이미 사라진 별들 매우 먼 곳에 있는 별들 그리고 너무 밝아서 관측하기 어려운 별들 때문입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우주 초창기에 만들어진 별들이 아직 관측되지 않는 이유는 크게 두 가지입니다.

    첫째, 거리입니다. 초창기 별들은 우리로부터 매우 멀리 떨어져 있습니다. 우주가 팽창하면서 빛이 이동하는 시간도 길어져, 초창기 별에서 나오는 빛이 지구에 도달하는 데 수십억 년이 걸릴 수 있습니다. 현재 우리가 관측할 수 있는 가장 먼 별은 빅뱅 후 약 4억 년 후에 형성된 별들입니다.

    둘째, 밝기입니다. 초창기 별들은 대부분 수소와 헬륨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현재 우리가 흔히 볼 수 있는 주계열성보다 훨씬 덜 밝습니다. 또한, 초창기 별들은 주변 가스와 먼지에 가려져 있어 더욱 관측하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초창기 별들을 관측하기 위해서는 더욱 강력하고 정밀한 망원경이 필요합니다. 현재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 등이 초창기 별들을 관측하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으며, 앞으로 더 많은 초창기 별들이 발견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

    초창기에 생성된 별들은 제1세대 별이라고 불리며 매우

    밝았고 짧은 시간 동안 핵융합 반응을 일으켰습니다.

    태양보다 수백 배 수천 배 더 밝았고 수백만 년에서 수천만 년

    정도밖에 살지 못했습니다.

    제1세대 별들은 대부분 은하 중심부에 위치하며 지

    구로부터 매우 멀리 떨어져 있습니다.

    빛이 지구에 도달하는 데 수십억 년이

    걸릴 수 있으며 현재의 망원경 기술로는 희미하고

    먼 제1세대 별을 관측하기 어렵습니다.

    은하 중심부는 먼지와 가스로 가득 차 있어 가시광선

    관측을 방해합니다.

    제1세대 별들은 먼지와 가스 뒤에

    가려져 있어 관측하기 더욱 어렵습니다.

    제1세대 별들은 전체 별의 극히 일부에 불과하며 현재는

    대부분 죽어 흑색 블랙홀이나 중성자별로 변했습니다.

    현재까지 사용되는 망원경은 가시광선 적외선 X-ray

    등 특정 파장의 빛만 관측할 수 있습니다.

    제1세대 별들은 이러한 파장 영역에서 빛을 거의 방출하지 않기 때문에

    관측하기 어렵습니다.

    다행히 과학자들은 새로운 관측 기술을 개발하여 제1

    세대 별을 관측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밍크스 망원경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 등 새로운 망원경들은 더욱 먼

    거리 더욱 희미한 천체를 관측할 수 있으며 제1세대

    별 관측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제1세대 별은 극도로 밝고 짧은 삶을 살았으며 먼 거리

    에 위치하고 먼지와 가스에 가려져 있어 관측하기 어렵습니다.

    과학자들은 새로운 관측 기술 개발을 통해 제1세대

    별을 관측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가까운

    미래에 제1세대 별에 대한 새로운 정보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답변이 마음에 드셨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우주에서 1세대 별을 아직 찾지 못하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첫째로, 1세대 별은 우주 탄생 초기에 형성된 별로 매우 희귀하고 어렵게 발견될 수 있습니다. 둘째로, 1세대 별은 매우 밝고 뜨거운데다가 우주의 먼 곳에 있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관측이 어렵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이미 2015년에 1세대 별을 관측한 사례가있고,
    이후로도 제임스웹과 같은 발전된형태의 관측도구를 통해서도 디테일하게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박성학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리 은하에서 약 135억년 전 빅뱅 직후 물질로 만들어진 가장 오래된 1세대 별이 발견됐다고 합니다. 미국 존스홉킨스대학 부교수인 케빈 쉬라우프먼 박사 연구팀은 지금까지 우리 은하에서 관측된 별 중 가장 오래된 별인 ‘2MASSJ18082002-5104378B’ 우리 은하의 별이 밀집된 ‘얇은 원반’에서 발견된 이 별은 약 80억~100억년 전으로 추정돼온 우리 은하의 생성 시기를 적어도 30억년 이상 끌어올릴 것으로 보인다고 하네요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박준희 과학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초창기의 별이 지금의 지구와 너무 떨어져 있기에 발견이 쉽지 않다는게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우주는 광활하기에 인간의 손이 닿지 않은곳이 아직도 어마무시하기 때문이죠.


    감사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