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궁금한질문쟁이
궁금한질문쟁이23.02.16

별이 10광년 떨어졌다고 했을때 그걸 어떻게 알 수 있나요?

지구로 부터 어떤 별이 10광년 거리 만큼 떨어저 있다고 할 때

지구에서 관측한 이 별의 빛이 10년동안 날라와서

지구에 왔다는 것을 어떻게 알 수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영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시차를 이용해서 별 의 거리를 구합니다.

    시차는 서로 다른 두 지점에서 본 별 위치의 겉보기 이동을 측정하는 것입니다.

    별까지의 거리를 측정하기 위해 시차를 사용하기 위해 천문학자들은 하늘에서 한 위치에서 별의 위치를 측정한 다음 6개월 후 지구가 지구로 이동했을 때 다른 위치에서 별의 위치를 다시 측정합니다.

    태양 주위를 도는 궤도의 반대쪽 측정값을 비교함으로써 시차 각도로 알려진 별에 대한 두 시선 사이의 각도를 결정할 수 있습니다.

    그런 다음 별까지의 거리는 지구와 태양 사이의 평균 거리인 천문 단위(AU)로 알려진 계수를 곱한 시차각의 역과 같은 거리를 사용하여 삼각법을 사용하여 계산할 수 있습니다.

    파섹 단위의 거리는 1을 시차각(아크초)으로 나눈 값과 같습니다. 예를 들어 별의 시차각이 0.1각초인 경우 별까지의 거리는 약 10파섹(또는 약 32.6광년)입니다. 이것은 별에서 나오는 빛이 지구에 도달하는 데 약 10년이 걸린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거리를 측정하는 측정방법들이 매우 많이 있습니다. 따라서 정밀한 거리가 계산이 가능합니다

    질문에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클릭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10광년처럼 가까운 거리는 연주시차법을 사용해 측정이 가능합니다.연주시차법이란 지도에서 한 쪽에 위치한 두 위치에서측정하고자 하는 한 점을 바라보면 각도의 차이가 생기는데요. 이렇게 얻은 각도와 두 위치 간의 거리를 삼각함수를 이용해서 계산하는 방법입니다. 지구의 궤도가 그리는 지름은 알고 있으니 그 지름이 최대인 시점에서 각각 별의 각도를 재면 구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황석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여러가지 방법이 있지만, 그중 가장 쉬운 방법을 소개시켜 드립니다. 이 방법은 연주시차 측정법이라고 하는데, 지구가 태양을 공전할 때의 위치차이로 인해 별의 시차가 생기는데, 이를 이용해 삼각함수를 통해 별과의 거리를 구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연주시차를 측정할 수 없을만큼 멀리 떨어진 별에는 적용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