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뽀얀굴뚝새243
뽀얀굴뚝새24324.04.12

고사성어 '와신상담'에 나오는 인물이 누구이며 유래가 궁금합니다.

어제 지인들과 대화를 하면서 와신상담이라는 고사성어가 나오고

중국 역사에 대한 이야기도 하고 재미있는 시간이었는데요.

와신상담이라는 성어의 뜻은 대충 알고는 있습니다만

유래는 잘 모르겠는데, 어떻게 만들어진 성어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와신상담의 유래가 무엇인지 궁금한 것 같습니다.

    중국 춘추 전국 시대에 오나라의 왕 합려가 월나라로 쳐들어갔다고 합니다.
    하지만 합려는 월나라의 구천왕과 싸우다 전쟁터에서 숨을 거두었습니다.
    그 뒤 합려의 아들인 부차는 아버지의 원수를 갚기 위해 가시가 많은 장작더미 위에서 잠을 자며 복수를 다짐했다고 합니다.

    부차와 구천왕과 관련된 이야기에서 유래되었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와신상담 (臥薪嘗膽)의 뜻은 복수심을 품고 언제나 그것을 생각하며 신고 (辛苦)하는 것을 의미 하는데 바로 이 오왕 부차와 월왕 구천의 고사에서 그 유래를 찾을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와신상담은 와신과 상담이 합쳐진 고사성어로,

    와신은 오나라 왕 부차가 섶나무 위에서 자던 것을 말하며, 상담은 월나라 왕 구천이 쓸개를 맛보던 것을 말합니다.

    중국 춘추시대 오나라 왕 합려는 월나라 왕 구천과의 전투에서 크게 패하고 부상당한 상처가 악화되어 죽음을 맞이하게 되며, 합려는 죽기 전 자신의 아들 부차에게 구천을 쳐서 원수를 갚으라는 유언을 남깁니다.

    부차는 복수를 잊지 않기 위해 섶나무 위에서 누워 자면서 지나다니는 신하들에게 말하길, 부차야! 너는 구천이 너의 아버지를 죽였다는 사실을 잊었는가! 그러면서 부차는 복수를 준비하며 때를 기다립니다.

    구천은 부차가 월나라에 복수하려고 한다는 사실을 알고 먼저 공격했으나 패해 회계산에서 포위당하는 신세가 됩니다.

    구천은 오나라의 백비에게 뇌물을 주며 부차에게 신하가 되겠다 청하고 오나라의 오자서는 구천을 지금 쳐야한다고 주장하나 받아들여지지 않고 구천은 고국으로 돌아갑니다.

    구천은 고국에 돌아온 후 쓸개를 옆에 두고 맛보며 말하길,

    너는 회계산에서의 치욕을 잊었는가,

    그렇게 복수할 기회를 노리던 구천은 이십여년 후 오나라 수도를 점령하고 부차를 굴복시켜 최후 승자가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