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동향

따뜻한원앙279
따뜻한원앙279

모든 물건이나 자산은 수요와 공급에 따라서 결정되나요?

자본주의 세상에서 존재하는 모든 물건이나 자산들은 수요와 공급에서 이루어 지는건지 궁금합니다.

예를 들면 부동산이나 토지 등 이런 것들도 수요에 따라서 결정되는 것이고

또 여러 제품이나 음식들도 수요나 공급의 의해서 결정되는게 어떤 물건의 가격결정에 기본이 되는건가요?

수요와 공급말고도 물건이나 자산의 가격을 결정하는 원리가 숨어있기도 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권혁철 경제전문가입니다.

    많은 분들이 가격 형성의 원리에 대해 궁금해하시는 것 같아요. 시장의 기본 원리가 수요와 공급에 기반한 만큼, 이 질문은 매우 핵심적입니다.

    부동산, 제품, 음식 등 대부분의 물건과 자산의 가격은 수요와 공급의 법칙에 따라 결정됩니다. 예를 들어, 사람들이 원하는 부동산이 한정되어 있다면(공급 부족), 그 가격은 올라가죠. 반대로, 상품이 너무 많아 소비자가 충분히 따라주지 못하면(공급 과잉), 가격은 내려갑니다.

    하지만 수요와 공급만으로 모든 것이 설명되진 않습니다. 심리적 요인(희소성에 대한 인식), 정책적 요인(정부의 규제나 보조금), 대체재와 보완재의 존재 등도 가격에 영향을 미칩니다. 예를 들어, 금 가격은 본래 귀금속의 희소성과 투자 심리에서 영향을 받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해를 돕기 위해 좋아하는 상품의 시장 구조를 살펴보는 것부터 시작해보세요. 상황별 요인들을 발견하면 큰 도움이 될 거예요!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대부분의 물건은 수요와 공급에 따라 결정이 됩니다. 수요가 없으면 그것의 가치는 없습니다. 아무리 좋은 물건이라도 찾는 사람이 없으면 개똥만도 못할 수 있죠. 하지만 그 가치가 있다고 인정받거나 한다면 그 수요가 증가할 것이기에 가격은 오른다고 생각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모든 물건과 같은 경우에도

    수요와 공급에 따라서 시장에서

    적정가치를 판단하여 이에 따른 가격 형성이

    된다고 볼 수 있으니 참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모든 물건이나 자산은 수요와 공급에 따라 결정되나에 대한 내용입니다.

    모든 물건이나 자산의 가치는 반드시 수요와 공급에 의해 결정되는 것은 아니어도

    어느 정도 수요와 공급을 기반으로 가치가 결정되기 마련입니다.

  •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경제학의 아주 기본 원칙입니다. 재화나 서비스의 가치는 수요와 공급에 의해 결정됩니다.

    수요가 있어야 그 제품이 가치가 생기며 공급이 많이 되냐 적게 되냐에 따라 가치가 상이해 지는것이지요.

    이런 시장 원리로 결정됩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물건과 재화 등의 가격은 수요와 공급 법칙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 기본입니다.

    그외에도 희소성, 기능성, 내구성, 지속성 등이 영향을 줄 수 있지만 사실상 이모든것들도 수요와 공급의 요소로 작용하기 때문에 사실 수요와 공급이 전부라고 보셔도 됩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전문가입니다.

    자본주의 경제에서 물건이나 자산의 가격은 기본적으로 수요와 공급의 원리에 의해 결정됩니다. 수요가 많고 공급이 적으면 가격이 상승하고, 반대로 공급이 많고 수요가 적으면 가격이 하락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부동산이나 토지와 같은 자산도 수요와 공급의 영향을 받습니다. 예를 들어, 특정 지역의 인구 증가나 개발 계획이 수요를 증가시켜 가격을 올릴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명주 경제전문가입니다.

    자본주의에서 대부분의 물건과 자산의 가격은 기본적으로 수요와 공급의 원리에 따라 결정됩니다. 그러나 정부 규제, 심리적 요인, 생산 비용, 독점적 시장 구조 등도 가격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조유성 전문가입니다.

    ✅️ 사실상 수요-공급이 전부입니다. 서울 아파트가 비싼 이유는 서울 땅이 한정적인데 반해 수요는 많기 때문입니다. 의대증원에 반대하는 이유도 결국 '공급'이 늘어나게 되면 의사들의 연봉, 가치가 떨어지기 때문에 반대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수요 공급은 기본이고요 장사를 하는 사람 입장에서는 독과점하는 사람의 시세 조정을 하죠 담합을 하고요 얼마 전에 금사과 때도 사과를 어마어마하게 거두어 들였다가 보관을 했더군요 그리고 공급량이 줄어들었을 때 가격을 올려서 파는 등의 행위를 한 것이 취재로 나왔습니다

  • 거의 대부분 물건이나 자산의 가격을 결정하는 원리는 수요와 공급의 원리에 따릅니다. 수요와 공급의 법칙을 벗어나는 경우는 단기적으로 발생할 수 있으나, 장기적으로는 수요와 공급의 원리에 따라 맞춰지는 경우가 대다수입니다.

  • 대부분의 물건이 수요와 공급에 따라 결정되어 있는게 맞지만 일부 정부 규제로 인해 실제 수요와 공급 법칙대로 결정되지 않는 것이 상당히 많은 것이 현실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철 경제전문가입니다.

    대부분 수요와 공급이 가격 결정의 기본 원리지만, 정부 정책, 생산 비용, 감정적 가치, 희소성 등도 큰 영향을 줄수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네 맞습니다. 자본주의 경제에서는 대부분의 물건이나 자산의 가격은 수요와 공급의 원리에 따라 결정 됩니다.

    그 외 가격을 결정하는 요인으로는 정부의 정책과 규제 등이 작용할거라고 생각합니다. 또한 자산의 희소성에 대해서도 가격이 좌지우지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