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토목공학 이미지
토목공학학문
토목공학 이미지
토목공학학문
흰검은꼬리63
흰검은꼬리6323.01.12

겨울철에 눈도 안왔는데 땅이나 풀밭에 서리가 끼는 것을 볼수 있습니다.

겨울철에 눈도 안왔는데 땅이나 풀밭에 서리가 끼는 것을 볼수 있습니다.

왜 서리가 끼는지 알고 싶습니다. 왜 새벽에만 끼는지..

낮에는 끼지 않는데..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1.13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서리가 만들어지는 원리는 이슬이 만들어 지는 것과 동일하고 차이점은 이슬이 얼어서 결정이 된다는 것입니다.

    일교차가 크게 발생하면 더운 공기에 포함되어 있던 수증기가 풀잎이나 지표면 등 물체의 표면에 뭉쳐서 작은 물방울이 되는 것을 이슬이라고 합니다. 하지만 새벽에 날씨가 더 차가워지면 수증기가 눈처럼 다양한 형태로 얼음 결정을 만들게 되는데 이것을 서리 라고 합니다. 서리는 새벽녘 영하의 기온에서 발생하고, 새벽이 지나고 해가 떠서 기온이 올라가면 녹아서 사라지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공기 중의 수분이 찬 공기때문에 액화되어 가라앉고 땅의 풀 등에 앉은다음 얼기 때문입니다.

    춥지 않다면 이슬이 되겠지만 날씨가 추우니 얼어서 그렇죠.

    해가 뜨면 햇빛에 녹아 없어집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서리란 대기 중의 수증기가 지표면이나 물체의 표면 등에 승화해 생긴 얼음의 결정을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바늘모양·부채모양·비늘모양 등의 형태를 갖고 있으나, 때로는 정형화된 형태가 없이 생길 때도 있습니다.


    서리의 발생원인은 이슬이 생길 때와 같이 지표면이 냉각돼 지면의 온도가 0℃이하일 때 흔히 발생합니다. 이때의 기온은 이보다 조금 높아 3℃이하일 때가 많습니다. 특히 서리는 대기가 비교적 청정하고, 자연환경이 양호한 농촌지역에서 관측이 잘 될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도시지역에서 보기는 매우 힘듭니다.


  • 안녕하세요. 김계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서리는 밤에서 새벽 사이 냉각에 의해 기온이 이슬점 이하로 내려가면서 이슬이 맺히게 됩니다.

    이때 이슬점 온도가 어는점 이하가 되면 지면이나 주변 물체에 이슬이 얼어 얼음 결정이 생성되는 원리를 갖고있습니다.이것이 얼게되면 서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