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토목공학 이미지
토목공학학문
토목공학 이미지
토목공학학문
고혹한 쇠똥구리
고혹한 쇠똥구리23.12.28

추운 날 서리가 내리는 원리는 무엇인가요?

늦은 가을이나 겨울 초에 밤에 자고 아침에 밖을 나가 보면 하얗게 서리가 내리는 경우가 많이 있는데 이렇게 서리가 내리는 원리는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0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낮과 밤의 온도 차에 유리나 벽 등에 맺힌 이슬이 영하의 온도에 의해서 얼게 된 것으로 서리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이슬과 동일하게 발생하는 원리지만 온도 차에 의해서 물의 형태가 아닌 얼음의 형태로 존재하게 되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형민 과학전문가입니다.

    공기중에는 눈에 보이지 않는 수증기가 많이 있습니다만 이게 날씨가 추워지면서 액화하여서 서리가 내리는것이라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서리는 대기 중의 수증기가 응결되어 얼어붙은 형태로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이를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밤에는 지표면의 온도가 대기의 온도보다 낮아지게 됩니다. 그리고 대기 중의 수증기는 온도가 낮아지면서 액체 상태에서 고체 상태로 변하게 됩니다. 이렇게 변한 수증기는 지표면에 응결되어 얼어붙게 되는데 이게 바로 서리가 내리는 원리입니다.

    하지만 이것만으로는 완전한 설명이 되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대기 중의 수증기는 항상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이것은 대기 중의 수증기가 응결되기 위해서는 일정한 조건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먼저 지표면의 온도가 대기의 온도보다 낮아야 합니다. 그리고 대기의 상대 습도가 높아야 합니다. 이 두 가지 조건이 충족되어야 대기 중의 수증기가 응결되어 서리가 내리게 됩니다. 그리고 바람이 없는 조용한 날에는 지표면의 온도가 더욱 낮아지게 되어 서리가 더 많이 내리게 됩니다.

    이렇게 추운 날 밤에 서리가 내리는 원리는 대기 중의 수증기가 응결되어 얼어붙는 것이기 때문에 서리가 내리는 것은 자연스러운 현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서리가 내리는 것은 대기 중의 수증기가 응결되는 것이기 때문에 대기 중의 오염물질이 많아지면 서리가 내리는 양이 줄어들 수도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기온이 0°C 아래로 떨어지면 이슬 방울의 일부가 업니다

    주변에 있는 이슬 방울이 증발해 수증기가 엉겨붙으면, 얼음 방울의 크기가 커져 서리 결정이되어 그게 서리입니다


  • 안녕하세요. 홍기윤 과학전문가입니다.

    서리는 날씨가 추워지게 되면서 공기 중에 수증기가 찬 물체에 얼어붙어서 만들어진 얼음 결정체 입니다. 서리가 얼기 위해서는 기온이 빙점(0도)이하로 내려가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늦은 가을이나 겨울 초에 밤에 자고 아침에 밖을 나가 보면 하얗게 서리가 내리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이것은 지면이나 물체의 온도가 영하로 내려가면서, 대기 중의 수증기가 얼어붙어 생기는 현상입니다. 밤에는 공기가 차가워지면서 수증기가 응결되어 작은 물방울이 됩니다. 이 물방울들은 지면이나 물체에 닿으면 얼어붙어 서리가 됩니다. 서리가 내리기 위해서는 지면이나 물체의 온도가 영하로 내려가고, 대기 중의 수증기가 충분히 많아야 합니다. 또한, 바람이 불지 않아야 서리가 잘 붙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

    서리가 내리는 것은 대기중의 수분과 관련이 있습니다.

    겨울 초에는 밤사이에 기온이 급격히 내려갑니다.

    기온이 갑자기 떨어지면 수증기가 이슬점에 도달합니다.

    기온이 더 떨어져서 이슬점이 어는 온도인0도 이하로 내려가면 수증기가 물방울이 되지 않고

    고체인 얼음으로 변합니다.

    답변이 마음에 드셨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공기 중의 수증기가 낮은 기온에 승화된 것이다. 조금 더 정확히 말하면 주위 공기가 이슬점 이하이고 단단한 물체의 표면이 섭씨 영도 이하일 때 표면에서 발생하는 흰 가루 모양의 얼음을 서리라고 한다. 냉장고나 냉동 창고 등에서 쉽게 발견되며(성에), 드물게는 식물의 잎에서 증산하는 수증기가 그대로 얼면서 서리를 만들기도 한다. 참고로 얼음의 위에도 서리가 생길 수 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공기 중의 수증기가 차가운 물체와 접촉하면, 온도가 이슬점 아래로 떨어지며 수증기가 응축되어 물방울 또는 얼음 결정으로 변하게 됩니다.

    이렇게 생성된 결정이 지상으로 내리고 영하로 기온이 떨어지면 얼어서 얼음 결정이 됩니다.

    이렇게 이슬이 얼어 붙어버린 얼음 결정을 서리라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1. 대기 중의 수증기: 대기에는 수증기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수증기는 공기 중에 존재하는 물의 가스 상태입니다.

    2. 응축: 온도가 낮아지면 공기 중의 수증기가 액체 상태인 물로 응축될 수 있습니다. 이때, 응축이 일어나기 위해서는 수증기가 고체 표면에 응축할 수 있는 핵에 의해 결정이 형성되어야 합니다.

    3. 서리 결정: 응축이 일어날 때, 수증기는 주로 고체 표면이나 냉각된 물방울에 응축됩니다. 이것이 바로 서리 결정입니다. 서리 결정은 대기 중의 수증기가 고체 표면에 얼어붙어 작은 얼음 결정으로 형성되는 현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