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래 지정한 표준어는 아니지만 그 시대사람들이 계속사용한다면 표준어가 될 수 있나요?
지금 우리가 표준어라고 지정한것도 오랜시간 사람들이 사욤해온 말을 정리한것으로 알고 있는데요. 그렇다면, 원래 지정한 표준어는 아니지만 그 시대사람들이 계속사용한다면 표준어가 될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해리포터입니다.
표준어는 언어의 사용자들이 공통적으로 인정하고 사용하는 특정한 형태나 표현입니다. 표준어가 지정되거나 변화하는 과정은 사회적, 문화적, 언어학적인 요소에 따라 다르며, 표준어가 되기 위해서는 몇 가지 중요한 요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사용자의 공감과 사용빈도: 언어의 사용자들이 특정한 표현이나 형태를 널리 공감하고 사용한다면, 그것이 표준어로서 자리잡을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언어 교육과 언론: 언어의 표준화 및 표준어의 형성에는 교육기관과 언론매체가 큰 역할을 합니다. 언어의 표준화를 위해서는 교육 및 언론을 통해 특정한 어휘, 문법, 발음 등이 보급되고 사용되어야 합니다.
시대적 변화: 언어는 시대와 문화적 변화에 따라 변화합니다. 따라서 새로운 표현이나 어휘가 등장하고, 오래된 표현이 사용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원래 지정된 표준어가 아니더라도, 시대에 따라 사람들이 일관되게 사용하고 공감하는 경우에는 그 표현이 표준어로 인정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언어 사용자들의 일련의 합의와 언어 사용 패턴에 의해 결정됩니다. 언어의 표준화와 변화는 동적인 과정이며, 새로운 표준어가 형성되는 것은 언어 진화의 일부입니다.
안녕하세요. 팔팔한파리매131입니다.
표준어 규정상 한 나라의 표준으로 정한 말로 우리나라에서는 교양 있는 사람들이 두루 쓰는 현대의 서울말을 표준어로 정한다고 되어 있습니다.
여기서 교양 있는 사람들과 현대그리고 서울말이라는 세 가지 원칙에 모두 맞아야 표준어이고, 하나라도 맞지 않으면 표준어가 될 수 없다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총명한쌍봉낙타255입니다. 맞습니다. 정해져 있는 거는 없습니다. 사람들이. 많이 사용하면 그게 표준화가 되어 버립니다. 자장면 짜장면이 그렇구요. 예를 들니까 굉장히 많습니다. 효과 효과도 그렇습니다 많이 쓰면 바뀝니다.
장도연이 추천하는 아하!
앱으로 편리하게 사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