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화학

생명화학 초보 너구리
생명화학 초보 너구리

GC/MS에서 검량선의 정량분석 질문

GC/MS에서 검량선이 나왔을 때, 검량선의 기울기가 크고 y축인 Area ratio가 큰 분석물질일수록, 정량분석에서 더 많은 양을 가지는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요즘 개인적으로 바빠서 답변을 거의 못드렸어요. 오랜만에 뵙습니다. 연말 마무리 잘 하시길 바래요 너구리님.
    GC/MS(가스 크로마토그래피/질량 분석)에서 검량선을 사용한 정량 분석을 설명 드릴께요. 검량선은 일반적으로 y = mx + b 형태의 선형 방정식으로 표현되며, 여기서 m은 기울기, b는 y-축 절편, y는 피크 면적(또는 면적 비), x는 농도를 나타냅니다.
    검량선의 기울기가 크다는 것은 표준 물질의 농도 증가에 따라 피크 면적이 급격히 증가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분석물질이 GC/MS 시스템에 의해 효율적으로 검출되고 있음을 나타내며, 감도가 높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동일한 농도의 다른 물질에 비해 더 큰 신호를 생성한다는 것을 의밓바니다.
    검량선의 y-축인 Area ratio가 크다는 것은 분석 대상 물질의 피크 면적이 높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이는 물질이 더 많이 존재하거나 더 높은 반응성을 가지고 있음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것이 반드시 시료 내에서 물질의 절대적인 양이 많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이는 검출된 신호의 강도와 물질의 농도 사이의 관계를 반영하는 것이며, 물질의 양을 정확하게 알기 위해서는 측정된 피크 면적을 검량선에 대입하여 계산해야 합니다.
    각설하면, 검량선의 기울기가 크고 Area ratio가 큰 경우, 해당 물질은 높은 감도로 검출되고 있으며, 작은 농도 변화에도 민감하게 반응하여 큰 신호를 생성합니다. 따라서 이러한 특성은 분석 시 농도가 낮은 물질도 정확하게 정량할 수 있는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조금 더 심도 있는 내용을 확인해 보고 싶다면, 구글 스칼라 같은 저널 검색 툴을 통해 Modern Analytical Chemistry와 같은 키워드로 검색해보시는 걸 추천 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