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밝은큰고니27
밝은큰고니2724.03.31

고려시대의 무신정권은 어떻게 시작되었나요?

고려시대는 왕건이 세운 뒤 왕씨가 왕권을 유지했던 왕조였는데요. 고려 후기에는 무신들이 정권을 잡아 무신정권이 시작되었다고 합니다. 그러면 고려시대의 무신정권은 어떻게 시작되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황정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고려의 무신정권의 시작은 1170년 무신이었던 정중부의 난으로부터 시작이 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강요셉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무신정권은 고려시대 중기에 무신들에 의해 나라가 통치된 시기와 그 당시에 정권을 일컫는 말입니다 1170년 무신들이 문신에 비해 자신들이 차별 대우를 받는다고 생각해 보현원에서 무신정변을 일으켰고 기존의 고려를 지탱해 온 문신들과 지배계층을 학살했다고 합니다 그리고 의종을 폐위한 뒤 명종을 옹립했고 정권을 차지했지요 이후 숙청을 일으킨 무신들의 일가족과 친목 파벌들이 돌아가면서 100년의 기간 동안 고려를 통치하게 된 것입니다. 무신정권을 시작으로 고려는 과거의 강성함을 잃고 밖으로는 외세의 동네북이 되고 내부로는 끝없는 반란과 무능의 시대를 맞이하게 된 것입니다 고려시대 성립된 무신정권은 한국 사상 분명히 특색있는 정권이었고 고려의 무신정권을 독자성 주체성이 강한 정권으로 규정지어 좋을 것 같습니다 그 정권은 무엇인들이 단순히 정치에 참여하는 것에 그친 것이 아니라 그 독창성에 입각하여 독특한 정치 구조를 구축하여 그것을 중심으로 독특한 정치를 운영하였고 한편 무신정권도 정권인 이상 정권의 안전 기조를 필요로 하였지요 그 안전 기조라 할 것은 한두 가지가 아니겠지만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문무 겸전 체제의 정비였다고 하겠습니다 그러므로 무신정권의 수립 과정에서는 문신 귀족을 대량 제거했지만 곧 뒤이어 문신 체계를 정비하는데도 노력하였고 새로운 문신 체계는 일부 구문신 계열을 포섭 등용하기도 하였지만 그것보다도 무신정권 아래에서 과거를 통하여 등용된 신진 사류가 점차 그 주류를 이루게 되었습니다 무신정권의 독자성은 정치뿐만 아니라 사회 경제 문화면에서 반영되어 독특한 양상을 자아냈지만 대외관계에 있어서는 그 특색이 더욱 분명하였습니다 그것은 무엇보다도 주체성이 강하게 작용하고 있었다는 점으로 최씨 정권의 항몽 투쟁은 바로 그것을 입증하여 주는 것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윤지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고려시대의 무신정권은 1170년에 정중부 등의 무신들이 일으킨 무신정변을 계기로 시작되었습니다.고려 전기에는 문벌 귀족들이 문신 중심의 정치를 행하며 무신들을 차별 대우하였습니다. 제도적으로도 무반은 정3품직인 상장군을 최고 관직으로 하였고, 2품 이상인 재상직에는 올라갈 수 없었습니다. 이로 인해 무신들의 불만이 쌓이게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