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계란 30짜리 한 판 싼게 쿠팡에서 6,000원대에 판매가 되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것이 코로나 전후로 3,000원 대로 기억을 하고 있는데
현재 계란 30짜리 한 판 싼게 쿠팡에서 6,000원대에 판매가 되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것이 코로나 전후로 3,000원 대로 기억을 하고 있는데요 4,000원이나 왜 안 내리는 겁니까
안녕하세요. 김명주 경제전문가입니다.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계란 가격이 상승한 주요 원인은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의 확산으로 인한 생산량 감소와 국제 곡물 가격 상승입니다. AI 발생으로 인해 대량의 닭이 살처분되면서 공급이 줄었고, 사료 가격 상승까지 더해져 생산 비용이 증가했기 때문에 계란 가격이 상승하게 되었습니다.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전문가입니다.
계란 가격이 최근 6,000원대에 판매되고 있지만, 코로나 이전의 3,000원대와 비교했을 때 여전히 비싼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첫째,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와 같은 질병으로 인해 계란 생산이 감소하여 공급이 줄어든 것이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둘째, 생산비용의 상승과 소비자 수요 증가도 가격 상승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정부는 가격 안정을 위해 납품 단가 인하를 추진하고 있지만, 이와 같은 조치가 즉각적인 효과를 보기 어려운 상황입니다.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아마 더 싸게 내놓는 사람이 없기 때문이라고 생각을 하는데요 경쟁을 하려면 가격 경쟁을 해야 되는데 그만한 사람들이 없고 현재 6천원대로 판매하는 사람들은 아마도 거의 반 독점식으로 하고 있는 것이 아닐까 싶습니다 우선은 매출이 계속 유지가 되고 있으니까요
안녕하세요. 김가연 경제전문가입니다.
전반적인 이유는 코로나 이후 물가가 많이 올랐기 때문입니다.
코로나와 같은 경기위축을 불러일으키는 팬데믹에서 정부는 경기부양책을 쓰게 됩니다.
이러한 정책을 통해 시중에 통화량이 많아지게 되고 이는 물가 상승을 초래하게 되는데요,
현재 기준으로 물가상승률 자체는 많이 잡혔지만 물가상승액 자체는 올라가있을 수 밖에 없습니다.
또 다른 요소로 계란 공급이 줄어들었을 확률, 판매자 자체의 가격 책정 등이 가격 변동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계란 등도 수급의 영향도 있고
더불어서 물가가 상당폭 올랐으며
물가는 하방경직성이 있어서
이에 따라서 한번 올라간 물가는
잘 내려가지 않습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계란 값이 왜 다시 내리지 않나에 대한 내용입니다.
이는 그 기간 사이에 물가가 너무 많이 올라서
생산단가가 올랐기에 다시 내리기는 어려워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전문가입니다.
계란 가격은 코로나19 이전보다 크게 상승한 이유는,
사료 가격이 130% 이상 상승하고, 다른 제반 비용도 크게 증가하여 농가의 체감 생산비가 약 2배 증가했습니다. 경기의 어려움으로 사람들은 육류보다 저렴한 단백질원으로서 계란 수요가 증가했습니다.
할인행사 종료와 명절 수요 등 유통 구조의 변화도 가격에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농가들은 생산비 상승에 비해 계란 가격이 충분히 오르지 않아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정부와 업계는 가격 안정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코로나19 이전 수준으로의 가격 하락은 어려운 상황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