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즐거운 나날
즐거운 나날23.03.08

미국의 실업률이 견고하다는 것은 경기가 좋다는 뜻 아닌가요?

인플레이션 상황이 좋지 않지만

나머지 각종 경제지표가 좋다는 것은

경기침체가 일어나지 않을 거라고

경제 주체들이 믿는다는 의미가 아닌가요?

그런데도

주가는 내려가는 이유는 무엇 때문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의 실업률이 낮다는 것은 경기가 좋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이는 곧 소비시장이 활성화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단어입니다. 실업률 즉 고용현황이 금리에 미치게 되는 영향을 말씀드리게 되면 크게 2가지로 나누어서 설명드릴 수 있습니다.

    먼저, 첫 번째는 일반적으로 금리가 인상되면 해당 국가의 경제는 소비침체가 발생하게 되면서 기업들의 실적이 악화되고 이로 인해 기업들은 생산원가 절감을 위해서 '구조조정'을 하게 되는데 이는 곧 해당 국가의 경기침체가 발생한다는 것을 말합니다. 작년부터 미국은 빠른 금리인상을 하였기에 이러한 경기침체 현상이 발생해야 하지만 여전히 고용시장이 튼튼하다는 것은 '금리인상의 여파' 없이 미국 경제가 튼튼하게 잘 견디고 있다는 것을 말합니다.

    두 번째는 고용시장이 튼튼하다는 것은 소비를 할 수 있는 경제주체들의 소비력이 여전히 강하다는 것을 말합니다. 소비력이 강하다는 것은 결국 소비의 활성화로 인해 인플레이션이 상승할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입니다.

    결론적으로, 금리인상을 빠르게 했음에도 우려하는 '경기침체'가 발생하지 않아서 추가적으로 금리인상을 하더라도 경제에 무리가 가지 않는다는점과 고용시장이 튼튼하다 보니 인플레이션 재상승의 우려가 있어서 결론적으로는 금리를 다시금 빠르게 올리게 된다는 것으로 결론이 도출되는 것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