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22.12.22

미국 GDP가 잘나왔는데 주식에 악재인가요?

안녕하세요.


오늘 미국 GDP가 예상보다 잘나왔는데 그러면 아직 고용과 소비가 튼튼하고 물가가 높다고 생각할수도있나요? 그렇게되면 주식이 또 떨어질수도있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류경태 경제전문가blue-check
    류경태 경제전문가
    22.12.22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질문자님의 말씀대로 미국의 GDP가 예측치인 2.9%다 높은 3.2%가 나오게 된 것은 주식시장에는 큰 악재로 보셔야 할 것 같습니다. 올 한해 동안 빠른 금리인상에도 불구하고 소비시장은 성장하였고 고용시장도 튼튼한 상황이라는 것을 반증하게 되는데 이는 곧 인플레이션이 정점이 아니라 금리의 고삐를 조금만 늦추더라도 다시 인플레이션이 상승할 수 있다는 불안감을 주기에 충분한 자료값이라고 보셔야 할 것 같습니다. 그렇기에 지금 나스닥의 경우도 -1.8%가 하락하면서 장을 시작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안녕하세요. 김윤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시장에서는 미국의 경제성장률이 예상대비 높게 나온바 Fed가 이를 기반으로 더욱더 금리인상을 높게 그리고 길게 가져갈 것으로 전망하면서 전체적으로 오히려 투자자산에 부정적으로 작용하였습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금융 분야, 재무설계 분야, 인문&예술(한국사) 분야 전문가 테스티아입니다.

    * 네, 그럴 수도 있습니다. 단, GDP가 잘 나온 것은 그만큼 경제성장이 괜찮았고, 이에 경제 펀더멘탈이 좋다는 것을 반증하는 것이 되므로 단기적으로는 금리 인상 우려로 인해 하락할 수 있어도, 장기적으로 보았을 때는 호재로 작용할 공산이 크다고 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허정우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


    금리인상을 더 할 수 있는 명분이기에 악재이긴합니다. 다만 최근에 환율이 많이 떨어지면서 미국 주식을 높을때 비해 싸게 살수 있게 됐죠? 해당부분이 어느정도 커버를 하면서 보합이 유지될거라 보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