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격 성향같은 mbti질문을어떻게생각하시나요?
요새 사람들만나면 mbti에대해 많이 묻고들하는데 앱에서 나타나는 나의 mbti성향을 어디까지 믿는것이 좋을까요? 확실한성향같지도 않아서 저의성향을확실하게알수있는 앱 추천해주세용
안녕하세요. 이수현 심리상담사입니다.
MBTI는 카를 융의 분석심리학을 근거로 개발한 성격유형선호지표입니다.
학계에서는 인정받지 못합니다. 학계에서 인정받는 것은 Big5입니다.
또한 MBTI는 이상향을 반영할 요소가 매우 큽니다. 질문 자체가 어떠한 의도인지 충분히 할 수 있지요.
일반적으로 심리검사지에는 문항에 대해 얼만큼 성실하게 임하고 있는지도 측정할 수 있는 부분이 있습니다.
하지만 MBTI에는 그러한 문항이 없지요.
마지막으로 MBTI를 만든 캐서린 쿡 브릭스와 그녀의 딸 이사벨 브릭스 마이어스 둘다 심리학에 대한 공식적인 훈련을 받지 않았습니다.
MBTI가 인기가 많은 이유는 모든 결과가 긍정적이기 때문에 매력적으로 느끼는 것이라고 봅니다.
옥스퍼드대 엠레 교수는 '이 시험은 우리 자신에게 대해 더 알고 싶은 타고난 욕망과 다른 사람들에게 그 자신을 묘사하는 쉬운 방법을 충족시킨다.'고 했습니다. 일종의 자기 지배와 일종의 일관성을 열망할 수 있는 환상이라고 정의할 수 있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심리상담사입니다.
mbti 또한 정식검사가 있습니다.
MBTI 정식검사를 통하여 본인의 성향을
파악해보시는 것이 좋을 것 같으니 참고하세요.
안녕하세요. 박상범 심리상담사입니다.
MBTI와 같은 경우 인터넷에서도 있으나
다소 신뢰성이 떨어집니다.
정식 MBTI 검사를 받아보시는 것이 확실합니다.
안녕하세요. 안장이 심리상담사입니다.
다른 어플은 결과물이 덜합니다
외향적인가 내향적인 성격인가를 잘 가늠하셔서
나의 성격이 좀더 긍정적으로 발전하면
최선입니다
충분히 가치있는 내담자님을 응원할게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심리 상담 지식답변자 김성훈 심리상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내가 이러한 성향의 사람일 가능성이 높구나"정도로만 판단하시기 바랍니다. 인터넷에 나오는 mbti 검사의 정확도 높지 않고, 이를 과신하다보며 오히려 결과에 자신을 맞춰가는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성문규 심리상담사/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mbti 검사의 경우 꽤나 공신력이 있는 검사입니다
다만 인터넷에서 누구나 쉽게 시행하는 검사보다는 실제 mbti 검사를 받는 경우에만 한정합니다
아마도 시중에서 쉽게 검사는 불가능 하시고 상담센터등에서 유료로 검사를 받으실수 있을 것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정기훈(A-ha) 심리상담사입니다.
MBTI는 성격유형 검사의 한 종류입니다. 각각의 유형들은 해당 유형들이 설명하는 특징을 많이 가지고 있는 경향성을 나타냅니다.
MBTI검사를 실시해보시면 결과지에 E 70%, I 30% 이런식으로 표기되는데 이는 외향적(E)인 성향의 대표적 특징을 나타낸다고 보여지는 문항에 와향적특징이 강한사람들이 선택한 사람들과 70% 정도 유사한 걸 의미 하며 I 30%는 그 반대입니다.
즉 외향성을 나타내는 70%와 내향성을 나타내는 30퍼의 특징을 모두 가지고 있다는 말이며 e의 수치가 더 높기 때문에 E라고 표기됩니다.
이 말은 같은 E라고 해서 다 같은 E일 수 없으며 E로 표기 되었다고 해서 I적 특성이 없는 것이 아닙니다.
또한 가령 E 51%, I 46% 등과 같이 E와 I의 차이가 유사 하다면 검사 당시의 상황이나 생각 경헠에 따라 상대적으로 쉽게 결과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가령 E 46%, I 51% 등과 같이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E 80%, I 10% 이렁 형태의 결과가 나온다면 유형에서 설명하는 보편적인 특징과 그만큼 유사하다는 말이기에 MBTI를 더 쉽게 납득하거나 맹신할 수 밖에 없고 쉽게 변하지도 않습니다.
또한 앞서 이야기 했듯이 해당 유형들이 가지는 대표적인 문항들이기 때문에 모든 특징들의 경우의 수를 표현한 것이 아니기에 오차가 있을 수 밖에 없습니다. 결국 100%신뢰는 불가능하며 어느정도 보조적인 자료로 사용할 수 있으나 MBTI결과는 나를 온전히 설명하는 충분한 자료가 될 수 없습니다.
단지 결과가 ENFP면 ENFP가 가지는 특징과 유사한 경향성을 가지고 있다 정도로만 이햐하시면 되겠습니다.
추가적으로 나의 성향을 온전히 설명해주는 검사는 존재하기 어렵기 때문에
MBTI, 에니어그램, 홀랜드검사, 적성검사, MMPI-2 등의 여러 검사들을 시행하여 보다 나에 대한 이해를 높이시고 검사 결과보다 나는 나다 그렇기 때문에 검사결과가 나를 온전히 설명할 수 없으며 단지 나를 타인에게 설명하거나 나를 스스로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는 보조적인 자료일 뿐이라 여기셨으면 합니다.
도가도 비상도라고 도를 도라고 하면 그건 이미 도가 아니다 라는 말처럼 말한마디로 도를 설명할 수 없듯이 결과나 단어, 표현, 말 한마디로 나를 설명한느데 어려움이 있습니다.
좋은하루 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