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물리

길이빛나
길이빛나

빛이라는 입자를 인위적으로 정지시킬 수는 없나요??

안녕하세요!!

과학에서 배울때 빛이라는 것은 우주에서 가장 빠른 물질이라고 하는데, 다른 입자들은 그자리 그 위치에 어느정도 가만히 있는데 왜 빛이라는 것은 엄청난 속도로 움직여야만 하는 것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빛은 광자라고 불리는 입자로, 빛의 기본 단위입니다. 광자는 질량이 없는 입자로 보고 있습니다. 이것은 그들이 우주에서 알려진 최대 속도인 빛의 속도 c, 약 299,792 km/s로 움직이는 이유 중 하나입니다. 빛의 속도는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이 이론에 따르면 질량이 없는 입자는 항상 빛의 속도로 움직입니다. 상대성 이론에 따르면, 모든 관찰자에게 빛의 속도는 동일하게 측정됩니다. 이는 광자가 공간과 시간을 어떤 방식으로 통과하는지와 관련이 있으며, 광자가 느리게 움직이거나 정지할 수 없는 이유를 설명합니다. 자는 에너지와 운동량을 가지고 있습니다. 빛의 속도에서, 이 에너지와 운동량은 공간을 통해 전달됩니다. 만약 빛이 멈춘다면, 그 운동량과 에너지는 어디로 갈까요? 이는 현대 물리학의 법칙에 맞지 않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김재현 전문가입니다.

    빛은 전자기파의 일종입니다. 그중 눈에 보이는 가시광영역을 보고 있는 것이죠. 따라서 빛은 질량도 없고 파동만 가지고 있습니다. 정지한다는 것은 불가능 하고 다른 곳에 흡수 될 수 있습니다. 이건 빛의 특성이라 그렇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