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정형외과 이미지
정형외과의료상담
정형외과 이미지
정형외과의료상담
씩씩한하마236
씩씩한하마23621.06.05

어깨에 석회질이 많다는건 어떤의미 인가요??

팔을 많이써서 고통이 생겨 병 원에 갔더니 근육 주사맞고 물리 치료 계속 받고 다녔 습니다. 그래도 ㄱㅖ속아파서 초음파도 찍었습니다... 그런데 석회질이 꼈다고 했는데 계속 물 리치료만 했습니다. 그래도 아파픈데 계속 이대로 지료받아야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조성진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어깨 속에 석회가루가 쌓이는 석회화건염은 건(힘줄) 조직에 석회가 침착되고, 이 때문에 통증이 유발되는 상태를 말합니다. 인체의 어느 곳에나 생길 수 있으나, 특히 어깨 근처에 가장 많이 발생합니다. 특별한 이유 없이 어깨에 급작스런 통증이 생기면 가장 먼저 머릿속에 떠올릴 수 있는 것이 석회화건염입니다. 보통 30~50대 사이에 발생하는데, 40대에서 가장 많이 생기고 70대 이후에서는 갑작스런 통증을 유발하는 경우는 없습니다. 남자에 비해 여자에게서 조금 더 많이 발생하며, 일반적으로 주부나 사무직에서 많이 생깁니다. 다양한 원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생기는 석회화 건염은 어깨 속 4개의 힘줄 중에서 대부분의 경우 극상건이라는 힘줄 근처에 생기는데요. 이러한 것으로 봤을 때 가장 많이 사용되어 건(힘줄) 국소 부위에 혈액순환이 부족하게 되는 경우에 발생한다고 생각됩니다. 극심한 통증에 대하여는 드시는 약으로 조절하는 방법이 가장 좋으며, 호전되지 않는 경우에는 어깨 부위에 맞는 스테로이드 주사 치료가 도움이 됩니다. 이외에도 최근에는 초음파 쇄석기 등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으나, 비싼 비용에 비하여 그 효과가 확실하게 차이를 보일 정도로 우수하다고는 생각되지 않습니다. 극심한 통증 시기는 지나갔으나 흡수되고 남은 석회가 너무 커서, 이것이 주변 힘줄을 압박하여 통증을 만들고 힘줄 손상을 유발하는 경우에는 관절경 수술을 이용하여 제거해 내면서 손상된 힘줄에 대한 치료를 병행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출처, 카톨릭중앙의료원 건강칼럼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조인영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석회화건염은 어깨의 극상근에 호발하며 팔걸이를 하고 팔을 움직이지 않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소염진통제를 복용 하면 1주 내로 통증이 감소합니다.

    18게이지의 굵은 바늘을 이용하여 석회화된 물질을 뽑아주며 반복적으로 식염수를 주입했다가 빼내는 방법을 이용하면 더더욱 빠른 치료가 가능합니다.

    뽑아보면 하얀 치약 같은 물질이 나옵니다. 다만 굵은 바늘을 이용하기 때문에 상당히 고통스럽고, 잘 찌른 경우에도 나오지 않는 경우도 많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권준구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석회화건염은 40대 여성에서 많이 생기고요. 어깨의 회전근개의 힘줄 조직의 허혈로 인해 석회가루가 생기는 것으로 엄청난 통증을 수반 합니다. 체외충격파로 깨서 초음파유도하 반복 흡인술(barbotage)를 시행하면 효과적입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경태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어깨 통증의 원인은 다양한 질환들이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오십견, 회전근개파열, 석회화 힘줄염, 충돌증후군, 점액낭염 등이 있습니다.

    각 질환들이 서로서로 겹쳐서 증상을 나타내는 경우도 흔합니다. 반드시 정형외과 방문하셔서 정밀검사 및 신체진찰 받아보시길 권유드립니다.

    어깨의 관절범위를 유지시켜주는 스트레칭을 충분히 해주시고, 이후 시계추 운동으로 좀 더 스트레칭 범위를 늘려주면 좋습니다.

    이후 가벼운 근력운동을 병행해주시면 어깨 건강에 큰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승현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동결견 초기에는 진통소염제, 국소 주사, 물리치료 등을 이용해 통증과 염증을 감소시키며, 운동 요법으로 굳어진 어깨관절의 운동 범위를 회복시킵니다. 수술은 장기간의 치료에도 호전이 없는 경우에 시행합니다.

    동결견(오십견)의 치료 방법은 그 원인에 따라 달라집니다.

    ① 테니스, 수영, 야구 등과 같은 운동을 하는 과정에서 반복적으로 어깨를 움직여 발생한 동결견
    소염제 복용, 냉찜질이나 온찜질, 전기 자극을 시행합니다. 어깨관절을 과도하게 바깥으로 올리거나 돌리는 운동을 피하고, 어깨를 돌리는 근육을 강화하는 운동을 합니다.

    ② 힘줄의 석회화에 의하여 발생한 동결견
    냉찜질, 소염제 복용, 리도카인과 스테로이드를 혼합한 주사를 병변 부위에 놓는 치료 등을 시행합니다. 통증이 감소하면 관절이 굳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적당한 범위 내의 운동을 해야 합니다.

    ③ 관절 주머니의 유착에 의해 발생한 동결견
    이 경우에 온열 요법, 수동적, 능동적으로 적당한 범위 내의 어깨 운동, 목과 어깨의 등척성 강화 훈련, 시계추 운동, 손가락 벽 기어오르기 운동이 효과적입니다. 시계추 운동이란 선 상태에서 얼굴을 바닥을 향하게 하여 아픈 팔을 늘어뜨리고, 팔을 시계추처럼 왔다 갔다 하는 운동입니다.

    동결견(오십견)은 지속적으로 치료하면 얼마든지 좋아질 수 있습니다. 그러나 회복되기까지 꽤 오랜 시간이 걸리기도 합니다. 그러므로 정확한 진찰과 꾸준한 운동 요법 등을 통해 지속적인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김승현 의사 드림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정진석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어깨 충돌 증후군은 어깨관절에서 견봉과 위팔뼈 대결절부의 마찰로 발생하게 됩니다.

    원인으로는 회전근개 힘줄의 비후 혹은 힘줄 내의 석회의 침착 등의 내적 변화와 견봉골, 견봉의 골극, 대결절의 외골증 등이 존재할 수도 있습니다.

    어깨 충돌 증후군의 가장 큰 특징은 심각근 부위의 통증이며 경우에 따라 상완부도 아플 수 있습니다.

    치료는 보통 두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첫번째는 비수술적 치료로 통증의 해소, 관절 운동 범위의 회복, 회전근개 기능의 회복이 목표이며 대부분 수개월(4~6개월)이 걸리며 치료 이후에도 관리가 상당히 중요합니다

    두번째는 수술적 치료로 제한적인 케이스에서만 시행합니다. 즉 비수술적 치료가 효과가 없을 시에 시행하게 되며 이 역시 재활까지 겹친다면 상당히 수개월이 걸립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정진석 치과의사 드림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옥영빈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어깨에 석회질이 많다는 것은, 어깨에 석회화 건염이 있다는 의미입니다. 즉, 어깨 힘줄 부위에 칼슘 퇴적물이 쌓여 통증을 유발하는 것입니다. 보통 치료의 목적은 석회를 제거하는 것보다 통증 등의 증상을 호전시키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대개는 물리치료 등으로 많이 호전되나 증상이 지속될 경우 스테로이드 주사, 체외충격파 시술을 시도해볼 수 있으며, 그래도 힘들 경우에는 관절경을 통한 수술도 시도해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가능하면 최대한 침습적이지 않은 방법으로 증상을 조절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