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충을 구분하는 기준은 어떤건가요??
사람에게 도움을 주는 익충들이많이있는데 진짜 온갖 균을 다가지고있어도 도움이되는 부분이있다면 익충으로 분류가되는건가요??
익충은 그 이름 그대로 사람에게 이로운 영향을 주는 곤충을 의미합니다.
균을 보유하고 있는지 여부는 익충 분류의 주요 기준이 아닙니다.
보통 해충을 잡아먹거나 해충의 번식을 억제하는 곤충은 익충으로 분류됩니다. 대표적으로 무당벌레는 진딧물을 잡아먹어 농작물을 보호하고, 사마귀는 해충을 포식하여 개체 수를 조절하기 때문에 익충으로 분류합니다.
그리고 꽃가루를 옮겨 식물의 번식을 돕는 곤충은 익충으로 분류하는데, 벌과 나비는 대표적인 수분 매개 곤충이며, 농작물 생산에 필수적인 역할을 합니다.
그 외에도 죽은 동식물이나 유기물을 분해하여 토양을 비옥하게 만드는 곤충은 익충으로 분류하고, 인간에게 유용한 물질을 생산하는 누에 등도 익충으로 분류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균을 보유한 곤충이라도 사람에게 이로운 앞서 설명드린 역할을 한다면 익충으로 분류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곤충이 보유한 균이 인간에게 질병을 옮기거나 농작물에 심각한 피해를 주는 곤충이라면 아무리 이로운 역할을 하더라도 해충으로 분류됩니다.
안녕하세요. 박송주 수의사입니다.
익충은 인간이나 환경에 유익한 역할을 하는 곤충을 말합니다.
병원균을 포함하고 있더라도 해충을 잡아먹거나, 꽃가루를 옮기거나, 토양을 건강하게 하는 것 등 인간과 환경에 유익한 역할을 한다면 익충으로 분류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익충은 인간에게 유익한 역할을 하는 곤충을 의미하며, 분류 기준은 위생 여부보다는 농업·생태·환경 측면에서 이로운 활동을 하는지에 따라 정해집니다. 예를 들어 꽃가루받이를 도와주는 벌, 해충을 잡아먹는 무당벌레나 잠자리 등이 대표적인 익충이며, 몸에 세균이 있더라도 해충 억제, 작물 생산, 생태 균형 유지 등 긍정적 영향이 크면 익충으로 간주됩니다. 즉, 유익한 기능이 핵심 기준이지 위생 상태 자체가 기준은 아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