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3.24

조선시대 왕위 계승에 대해 궁금한 점 올립니다.

조선시대에서 왕위 계승과 폐위는 어떤 원칙에 따라 이루어졌나요? 그리고 왕위 계승과 폐위와 관련된 제도와 관례는 어떤 것이 있었나요? 왕위 계승과 폐위에 대한 정치적 이슈는 어떤 것이 있었으며, 이러한 이슈가 조선시대 정치에 어떤 영향을 미쳤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도도한듀공33
    도도한듀공3323.03.24

    안녕하세요. 정광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시대 왕위 계승과 폐위는 대체로 이론적으로는 양자제(兩子制)라는 원칙에 따라 이루어졌습니다. 이 원칙은 왕의 아들 중에서 어린 아들과 어린 아들의 아들 중에서 성씨가 같은 가장 어린 자손이 왕위를 계승하는 것입니다. 이를 “대부자후계(大夫子後繼)”라고도 합니다.


    그러나 이론적으로는 양자제가 적용되었지만, 실제로는 왕의 선호나 정치적인 이유 등에 따라 이와 다른 계승이나 폐위가 이루어졌습니다. 예를 들어, 조선 시조 이성계는 맏아들을 왕세자로 삼지 않고, 세번째 아들인 철종을 왕세자로 삼았습니다.


    또한, 왕위 계승이나 폐위는 대개 권력자들의 의지에 따라 이루어졌기 때문에, 권력자들 간의 갈등이나 세력 다툼 등에 따라 계승과 폐위가 잦게 일어났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조선시대의 왕위 계승과 폐위는 이론적 원칙에 따르기도 하고, 권력자들의 의지에 따라 변화하기도 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한도리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조선시대에서 왕위 계승과 폐위는 사대부조를 기반으로 이루어졌습니다. 즉, 재상이 임금의 후계자를 선발하는 제도였습니다. 이 제도는 왕실 내부의 충돌과 불화를 예방하고, 임금의 선대성을 강조하며, 사대부의 충성과 능력을 시험하는 방법으로 작용했습니다.조선시대의 왕위 계승과 폐위와 관련된 제도와 관례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