흐르지 않는 물은 썪는다고 하는데 저수지 물은 왜 썩지 않나요?
우리가 물이 흐르지 않으면 썩어서 냄새가 나거나 물색깔이 변한다고 해서 흘러가야 한다고 이야기를 하는데요
우리나라에 많이 있는 저수지는 왜 물이 썩지 않나요?
안녕하세요. 임경희 전문가입니다.
물은 고이면 썩는다고 하지요. 그래서 저수지의 경우 위에서는 물이 유입되고 아랫쪽으로는 물을 조금씩이라도 방류하고 있습니다. 농사철을 앞두고 방류의 물을 줄여 농업용수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저수지 물의 양에 따라 조절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저수지 물은 고여있는거 같지만 고여 있지 않아 썩지 않는 이유입니다.
안녕하세요. 박정철 전문가입니다.
흔히 고인 물은 썩는다고 말하지만, 사실 이는 작은 웅덩이나 그릇처럼 좁은 공간에 물이 오래 머물 때 쉽게 오염되는 현상을 두고 하는 이야기입니다. 저수지는 규모가 매우 커서 물의 양 자체가 어마어마합니다. 소량의 불순물이 들어와도 전체 물에 희석되어버리는 효과가 크지요. 또한, 저수지 물은 완전히 멈춰 있는 것이 아니라 바람이 불거나 새로운 물이 들어오고 나가는 등의 이유로 미세하게 움직입니다. 이 움직임 덕분에 물에 산소가 공급되고 정체가 방지되어 썩는 속도가 현저히 느려지거나 방지되는 것입니다. 게다가 저수지 안에는 물을 정화하는 미생물이나 생태계가 존재하기도 하고, 관리 주체에서 수질 관리를 위한 노력을 기울이기도 합니다. 이런 복합적인 이유로 저수지 물은 쉽게 썩지 않고 유지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황성원 전문가입니다.
저수지의 물이 썩지 않는다고 해서 완전히 썩지 않는 것은 아닙니다.
만약 저수지의 물이 고여 있거나 유입되는 오염물질이 많을 경우 물의 순환이 원활하지 않으면 물속에서 유기물이
분해되어 썩을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저수지의 물이 "썩지 않는다"고 말할 때는 정상적인 상태에서 충분한 순환과
정화 작용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전제 하에 그런 것이라고 보면 됩니다.
모든 물은 순환과 정화 작용이 없다면 썩게 되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조일현 전문가입니다.
저수지 물이 썩지 않는 이유는 자연적인 순환과 자정 작용을 하기 때문 입니다.
수냉식물,플랑크톤, 물고기 등이 물의산소 및 이산화탄소 농도를 조절합니다.
또한 저수지는 자체적인 정화 능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과도한 오염 물질이나 자정 능력을 넘어서는 한계치에 도달 한다면 수질이 약화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