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대출 이미지
대출경제
대출 이미지
대출경제
자유로운풍뎅이41
자유로운풍뎅이4122.09.02

현재 유로존의 디플레 현상이 궁금합니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발발 이후 꾸준히 돈풀기를 하던 유로존이 오히려 지금 디플레이션이 심각하게

9.1프로나 치솟았다는 전문을 보았습니다.

이유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유로존과 같은 경우 디플레이션이 심각하게 치솟지는 않았습니다.

    천연가스 및 원유가 등으로 인하여 인플레이션이 현재 심각한 상황입니다.

    전세계적인 고환율, 고유가, 고원자재 가격 등 여러가지 이유로 인하여

    인플레이션이 심화된 상태이니 참고하세요.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유로존은 현재 에너지발 물가상승(inflation)으로 고통 받고 있습니다. 물가하락을 의미하는 디플레이션(deflation)과 혼동하신 듯합니다. 코로나19 판데믹 하에서 거의 제로금리 수준으로 유동성을 시중에 무한정 공급했는데 이에 대한 점진적인 회수를 진행하던 중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러시아 가스전을 통해 공급 받던 값싼 천연가스가 끊어져 유럽 경제는 시름을 앓고 있습니다.

    이상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우선 디플레이션이 아닌 인플레이션이라는 점을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현재 전세계에서 발생하는 인플레이션 현상은 대부분 에너지 및 원자재 가격 급등에 따른 공급발 인플레이션입니다. 이는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이 시발점입니다.


    유로존의 경우, 많은 나라가 러시아로부터 에너지를 공급받고 있는데요. 서방으로부터 많은 제재를 받고 있는 러시아는 이에 대항해서 원자재 공급을 줄이거나 중단하였고, 이로 인해서 가격이 급등해 이것이 물가 상승으로 이어진 겁니다.


    이 외에도, 낮은 금리로 인해서 물가 상승에 영향을 주었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 현재는 디플레이션이 아니고 인플레이션이 아닌지 확인을 해보셔야 할 것 같습니다.

    • 연일 높은 수치로 상승하고 있는 물가는 시중에 풀린 돈 때문에 이루어 진 것이고, 하락하는 것은

      화폐의 상대적 가치입니다.

    • 이러한 화폐의 가치를 최소한으로 유지 시키기 위해서 유로존은 금리를 지속적으로 인상시키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성삼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유로존는 유로화를 사용하는 국가들로 소비자물가가 급등하였는데 가장 큰원인이 러시아와 우쿠라이나 전쟁으로 인한 에너지공급문제입니다. 자난해 보다 에너지가격이 38%상승을하였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유럽의 인플레이션이 9.1프로에 도달하게 되었네요.

    질문자분께서 말씀해주신데로 유럽이 계속해서 경기침체를 막기위해서 돈을 풀어 지원금 및 보조금의 형태로 주었던 것들이 이제 고인플레의 화살로 돌아오게 되었습니다.


    지금 유럽의 인플레는 1번이 화폐유동성 증가이며, 2번이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속도로 인한 달러가치상승으로 유로대달러환율이 급격히 상승하여 유럽전체의 원유 천연가스 등의 자재매입가격이 급격히 상승한 것도 유럽 인플레이션에 석유를 부어버린격이 된것입니다.


    좋은하루되세요!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