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자유로운쌍봉낙타113
자유로운쌍봉낙타113

과자봉지는 고산지대에 가면 빵빵해지는 건가요?

티비에서 어느 프로그램을 보고있었는데 평지에서는 괜찮다가 고산지대에 가면 과자봉지가 빵빵해지는 것을 보았습니다. 왜 과자봉지에 변형이 있는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리가 땅에서 숨을 쉴 수 있는 것은 지구의 중력이 공기를 잡아주고 있기 때문입니다. 산위로 올라가면 중력의 힘이 약해져서 공기의 밀도가 내려가고 기압이 낮아지게 됩니다. 밖에서 밀어주는 기압이 낮아지면서 과자 봉지는 점점 부풀어 오르게 됩니다. 산을 더 높이 올라갈 수록 더 부풀어 오르다가 외부의 기압보다 봉지 내부의 압력이 더 크게 되면 결국 봉지는 폭팔하게 됩니다.

    • 기체는 온도가 일정할때 압력이 낮아지면 부피가 팽창 합니다.

      지면에 높이 올라갈수록 압력이 낮아지니 과자봉지안에 있는 질소의 부피가 팽창하여 과자봉지가 빵빵해 지는 것입니다.

      높이 올라갈수록 온도또한 내려가지만 온도변화 보다 압력의 변화가 더 크기 때문에 부피가 팽창 합니다.

    • 일반적으로 땅에 있는 경우의 기압은 1기압입니다.

      따라서 과자 봉지는 1기압과 평형을 이룹니다.

      그런데 고산지대는 공기가 육지보다 적어서 1기압보다 기압이 낮습니다.

      그렇다면 과자 봉지의 내부 압력이 상대적으로 강해집니다.

      따라서 빵빵해집니다.

    • 안녕하세요. 배진호 과학전문가입니다.

      높이 올라갈수록 공기가 희박합니다. 따라서 공기가 누르는 힘이 공기압도 낮아지게 되죠

      그래서 과자봉지 내부의 기체가 밖으로 나가는 힘이 강해집니다

      이에 과자봉지가 더 부풀어지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고산지대로 갈 수록 외부 대기압이 낮아져 봉지과자안에있는 충전기체의 부피가 커져 빵빵해진것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고산지대로 갈수록 압력이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흔히 산에서 밥을 만들 때 설 익는다고 하는 겁니다. 기압차에 의한 현상입니다.

    • 안녕하세요.

      과자 봉지는 밀폐되어있기 때문에 안쪽의 공기가 밖과 통하지 않습니다.

      고산지대로가면 대기압이 낮아지고

      봉지안의 공기압은 그대로이기 때문에

      봉지안의 압력이 대기압보다 커져서 빵빵해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