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비둘기
비둘기23.07.03

냉동인간은 이론적으로 가능한 것인가요?

영화에서 불치의병이걸린사람을 후에 치료법이 나온후 치료하기위해서 냉동인간상태로 놔두는 장면들이 나오는데요


사람을 얼려서 늙지않게 놔두는것이 물론지금은 기술상불가능하지만 이론적으로라도 가능한 것인지궁금하여 질문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이론적으로는 모든조직을 순간적으로 한번에 얼렸다가 한번에 녹인 뒤 전기자극을 주는방식으로 가능하지만, 현재는 인간의 몸처럼 큰 경우에 조직을 한번에 얼리고녹이는 작용이 불가능합니다.

    그래서 몸이작은 거북이나 금붕어정도의 냉동실험이 성공할 수 있었던 것이구요.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냉동인간은 아직까지는 이론적으로만 가능한 것입니다. 냉동인간을 다시 살리는 기술은 아직 개발되지 않았으며, 냉동인간을 냉동하는 과정에서도 세포의 손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의학 기술이 계속 발전한다면, 냉동인간을 다시 살릴 수 있는 날이 올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준엽 과학전문가입니다.

    현재로서는 인간을 냉동 상태로 보존하여 늙지 않게 만드는 것은 기술적으로 불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인간의 생체는 매우 복잡하고 민감한 시스템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온도의 극단적인 변화에 매우 민감하게 반응합니다.

    냉동 상태로 인체를 보존하려면 체내의 모든 생리작용을 중지시켜야 하며, 동결과 해동 과정에서 발생하는 세포 손상과 얼음 결정의 형성 등으로 인해 중대한 생체 손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인체의 세포 및 조직은 냉동 상태에서도 대부분의 화학 반응이 멈추지 않고 계속 진행되어 손상을 입게 됩니다.

    현재까지는 냉동 상태로 인간을 보존하고 나중에 다시 부활시키는 기술적인 한계와 윤리적인 문제들이 해결되지 않아 실현이 어렵다고 여겨지고 있습니다. 냉동 상태로의 인간 보존은 영화와 소설 등 판타지적인 요소로 자주 사용되지만, 현실적으로는 많은 과학적, 기술적, 윤리적인 문제들을 해결해야만 가능한 일입니다.


  • 안녕하세요. 강상우 과학전문가입니다.

    현재까지 연구된 결과에 따르면, 냉동인간은 이론적으로는 가능한 일입니다. 냉동인간은 사망한 사람의 몸을 저온으로 얼려서 세포의 손상을 최소화하고, 나중에 의학 기술이 발전하면 다시 살릴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현재는 냉동인간을 살릴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되지 않았지만, 미래에는 의학 기술이 발전하여 냉동인간을 살릴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냉동인간을 하려면 먼저 사망한 사람의 몸을 저온으로 얼려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196도 이하의 온도에서 얼립니다. 몸을 얼릴 때는 동결방지제를 사용합니다. 동결방지제는 세포의 손상을 막는 역할을 합니다. 몸을 얼린 후에는 영하 196도의 액체질소에 보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