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시대에 양자는 형제에게서 들였나요?
조선시대에 자녀가 없어서 양자를 들일 때는 반드시 자신의 형제의 자녀 중에서 들였나요? 형제가 없거나 형제도 자녀가 없을 때는 어떻게 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윤지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형제에게서 들이는 경우가 대부분이었지만 친척조카에서 들이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시대에도 양자제도는 가계계승을 최우선 목적으로 삼았다고 합니다. 특히 조선 후기에는 아들을 두지 못한 양반이 양자를 필수적으로 선택한 사실은 양자가 가계계승 목적으로 했는데 하지만 조선시대에 양자를 통한 가계 계승이 자리를 잡으면서 여러 현상이 나타났다고 합니다. 양자는 형제의 자녀 중에 들이지만 형제가 없을 때는 가까운 친족의 자녀를 들이기도 했다 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시대에도 양자제도가 있었으며 세월이 지나 유교 종법이 수용되면서 강제규범에 가까웠습니다. 종법상 대종을 잇기 위한 용도였으므로 부계혈통이 같으며 아들 항렬의 남자만을 입양할 수 있었습니다. 양반이 자식이 없으면 양자를 들이는데 수양자와 시양자가 있었습니다. 수양자는 3세 이전에 입양한 경우로 친자로 인정받아 가계를 계승할 수 있고 재산상속도 받을 수 있었지만 시양자는 가계계승과 관계없어서 3세 이후에도 가능했고 성별을 나누지도 않았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