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철학 이미지
철학학문
철학 이미지
철학학문
활달한뜸부기28
활달한뜸부기2823.08.31

조선시대 무과가 유교경전 시험을 봐야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무과는 무인을 뽑는 시험인데

조선시대에 유교경전도 시험봤는 이유가 궁금해요!

조선이 유교를 중시해서 그런 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무과에 급제해도 합격을 한 셈으로 양반자리가 유지된다는 점을 알아챈 양반들이 너무 무과로 몰리는 폐단이 발생, 유교 경전의 비중이 점점 커지게 됩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정준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시대에는 양반 관료체제를 갖추게 되어, 1408년(태종 8) 무과를 설치하여 용호방(龍虎榜)이라 하였다. 시험과목은 무예 ·무경(武經)이었으며, 무예와 별도로 무경시험을 부과한 것은 조선시대 무과제도의 특징이다. 숭문언무(崇文偃武)정책으로 무과 출신의 질이 떨어지는 것을 막기 위해서였다. 양반 자제들이 어려운 문과를 버리고 쉬운 무과로 몰리는 폐단을 막기 위하여, 무과에도 경서(經書)시험을 부과한 때가 있었다.


    그러나 중기 이후는 무술실기를 더욱 중요시하였고, 임진왜란 때는 누구든지 이 시험을 보게 하여 서출(庶出)이 무관으로 출세하기도 하였다. 감독관으로 별시위(別侍衛)나 훈련원의 책임자를 파견하였으며, 각 군영(軍營)에서 시재(試材)를 시험한 후 직접 전시(殿試)를 치르도록 하였다. 합격자에게는 홍패(紅牌)라는 합격증서를 주고 ‘출신(出身)’이라고 불렀다. 또 합격자들은 훈련원 ·별시위의 권지(權知)로 분관(分館)되었다. 이 분관도 처음에는 직능에 따라 결정되었으나, 뒤에는 문벌(門閥)에 따라 우열(優劣)이 정해져 출세에 영향을 미쳤다.

    출처 : 두산백과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무과시험은 무예 (武藝)와 강서 (講書), 두 가지를 시험 봤다고 합니다. 이는 무관이라 할지라도 병법서와 유교 경전을 함께 읽어 문무를 고루 갖춘 인재를 뽑기 위해서였습니다. 이것은 마치 지금의 육군 사관 학교에서 사격이나 태권도 훈련만 하는데 아니라 영어나 기타 외국어 혹은 역사 및 인문 과학 수업을 하는 것이랑 같은 이치 입니다. 문무가 겸비 되야 훌륭한 장수가 되는 것 이니까요.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