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파라다이스
파라다이스23.02.26

바이러스는 생물체로 봐야 하나요?

바이러스는 세균, 식물, 동물에 기생해서 살고 세포안에서만 증식이 가능 하다는데 세포안에서만 증식하는 이 미생물은 생물체로 봐야 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선요섭 과학전문가입니다.

    바이러스를 살아있는 유기체로 간주해야 하는지 여부에 대한 질문은 아직도 과학자들 사이에서 논쟁의 대상입니다.

    바이러스는 스스로 생존하거나 번식할 수 없으며 그렇게 하려면 숙주 세포가 필요합니다. 그들은 대사 과정을 수행하거나 항상성을 유지하는 능력과 같은 살아있는 유기체의 전형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지는 않습니다.

    그러나, 바이러스는 유전 물질을 가지고 있으며 돌연변이와 자연 선택을 통해 진화할 수 있습니다. 그들은 또한 세포를 감염시키고 복제하는 능력과 같은 생명의 특정 속성을 나타내며 생물학적 개체로서의 분류는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바이러스를 살아있는 유기체로 간주해야 하는지 여부는 아직 논쟁의 대상이라 할 수 있습니다.


  • 바이러스는 엄밀히 말해서 생명체라고 할 수는 없습니다. 바이러스는 비교적 단순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데요, DNA나 RNA와 같은 핵산과 단백질 껍질로만 이루어져 있습니다. 우선 바이러스는 생명체의 구조적, 기능적 기본 단위라고 할 수 있는 세포로 이루어져 있지 않습니다. 또한 스스로 독립적으로 증식이 불가능하며, 반드시 숙주세포 내에서만 증식이 가능하기 때문에 증식을 한다는 측면은 생물학적 특성으로 볼 수 있지만 생명체라고 분류하지는 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바이러스는 일종의 미생물로서, 생물인가 아니면 비생물인가에 대한 논쟁이 있습니다. 바이러스는 자체적으로 대사를 수행하지 않으며, 감염된 호스트 세포 내에서만 번식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바이러스는 생명체로 볼 수 있는지 여부에 대한 의견이 분분합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는 바이러스를 생물체의 일종으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바이러스는 단백질 코팅과 유전자 물질인 DNA 또는 RNA를 가지고 있으며, 감염된 세포 내에서 번식이 가능합니다. 또한 바이러스의 유전자들은 진화 과정을 거치며 변화할 수 있고, 새로운 바이러스 종이 생겨날 수도 있습니다. 이러한 점들을 고려하면 바이러스를 생물체의 일종으로 여기는 것이 타당해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박준희 과학전문가입니다.


    과학적으로 바이러스또한 생물체로 여겨집니다. 또한 바이러스는 유일하게 모든 생명체에 감염하여 기상할 수 있는 생명체입니다.


    또한 DNA와 RNA로 구성되어 있는점도 생명체로 인정가능한 사유입니다.


    감사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2.26

    바이러스는 세포 안에서만 증식하는 미생물입니다. 바이러스는 생명체가 아니라는 견해도 있지만, 일부 과학자들은 바이러스를 생물체의 일종으로 간주합니다.

    바이러스는 세포의 대사를 이용하여 스스로 살아남을 수 없기 때문에, 다른 생명체에 의존하여 번식과 생존을 유지합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바이러스는 일종의 중간 형태로 여겨지기도 합니다. 바이러스는 DNA나 RNA와 같은 유전자 정보를 가지고 있고, 그 정보를 이용하여 세포 안에서 증식합니다. 이 과정에서 바이러스는 세포의 기계를 이용하여 자신의 유전자를 복제하고 새로운 바이러스를 만들어냅니다.

    바이러스가 생물체인지 아닌지의 문제는 아직까지도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 바이러스가 생물체로 간주되는 주요 이유는 바이러스가 유전자 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세포 안에서 증식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바이러스는 생명체와는 달리 대사능력이 없으며, 스스로 생존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바이러스를 생물체로 간주하느냐 아니냐는 학자들 사이에 의견이 분분합니다.



  • 안녕하세요. 천재우 과학전문가입니다.

    바이러스를 생명체로 볼 것인가 무생물체로 볼 것인가에 대한 논쟁이 지속되고 있는 가은데 최근에는 두 가지 가능성을 절충하여 ‘조건부 생명체(conditionally alive)’라는 새로운 용어가 제시되었다.

    생명체로서의 특징과 무생뮬로서의 특징을 모두 가지고 있지만 완전한 생명체는 아니기 때문에 조건부 생명체로 하는 방향으로 가는 것으로 가는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한준희 과학전문가입니다.


    생명체로 보는 여러가지 요인 중에 대사작용이 있습니다


    대사작용은 생명을 유지하기 위해 에너지른 만드는거라고 볼 수 있는데


    바이러스는 숙주 안에 들어가서 숙주세포를 이용해서 대사작용을 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바이러스는 숙주 바깥에 있으면 대사 작용을 할 수 없어서 생명체라 볼 수 없습니다


    바이러스를 particle 입자라고 부르는 이유기도 하죠


  • 안녕하세요. 김석진 과학전문가입니다.

    바이러스는 생물체인지 아닌지에 대한 논란이 있습니다. 일부 과학자들은 바이러스를 생물체로 보지만, 일부 다른 과학자들은 바이러스를 생물체로 보지 않습니다. 이는 바이러스가 생명체의 기본적인 특징 중 하나인 '자체 복제 능력'이 없으며, 세포 외부에서는 살아남을 수 없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바이러스는 세포 내부에서 증식할 수 있으며, 세포 내부에서는 생물체와 유사한 특징을 나타낼 수 있기 때문에 생물체로 간주될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바이러스는 생물체인지 아닌지에 대한 논란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원형석 과학전문가입니다.

    혼자서는 생물이 아니고


    다른 생물체에 기생해야만 생물적 특징을 갖기 때문에..


    근데 이거에 대한 의견은 많은 걸로 알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바이러스는 단백질껍데기 안에 핵산으로 된 구조 입니다. 핵산 안에는 유전물질 DNA, RNA 2가지 종류가 있는데요. 일반적으로 생물체는 DNA, RNA 2가지를 가지고 있어야하는데 바이러스는 둘중 한가지만 가지고 있어서 미생물이라고 판단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바이러스는 생물체인지 아닌지에 대한 의견이 분분합니다. 일반적으로 바이러스는 생물체가 아니라고 여겨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 이유는 바이러스가 자체적으로 생명을 유지하거나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호스트 세포 내에서만 존재하며, 호스트 세포를 이용하여 번식하고 복제하는 비생물적인 유전체라는 관점에서 비생물체로 분류되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준엽 과학전문가입니다.

    바이러스는 생물체인가 아닌가에 대한 문제는 과학계에서 여전히 논란의 여지가 있는 문제입니다. 일부 과학자들은 바이러스를 "비생물적인 유전물질"로 분류하고, 다른 일부 과학자들은 바이러스를 "생물체"로 분류합니다.

    바이러스는 생물체와는 달리, 세포 구조가 없으며 대부분의 경우 유전물질과 단백질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바이러스는 스스로 증식하지 않으며, 세포 내부에서만 증식할 수 있습니다. 또한 바이러스는 호스트 세포의 대사 경로를 이용하여 에너지를 생산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바이러스가 생물체로 분류될 수 있는 이유는 바이러스가 유전체를 가지고 있으며, 자신의 유전체를 복제하고 새로운 바이러스 입자를 형성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또한 바이러스는 자신의 유전체를 변이시키거나 다른 유전체와 교환하여 진화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바이러스가 생물체인지 아닌지 여부에 대한 결론은 아직 내려지지 않았지만, 현재 대부분의 생물학자들은 바이러스를 "비생물적인 유전물질"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바이러스는 생물의 특징과 무생물의 특징 둘 다를 가지고 있습니다.

    생물적 특징은 1. 증식한다. 2. 유전적 돌연변이가 발생한다. 3. 진화한다.

    반면 무생물적 특징은 1. 숙주 감염이후에만 증식(단독 증식 불가) 2. 물질대사 및 에너지 대사 불가능 3. 감염하지 못한 상태에서는 단백질과 핵산의 결정체


    결론적으고 바이러스를 생물이다 무생물이가 결론 짓기는 힘들 것 같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어려운 문제입니다. 일반적으로는 바이러스는 일반 생물체들이 가지고 있는 기본적인 세포라는 구조가 없기 때문에 생물체로 보지 않는다는 견해가 많습니다.

    질문에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클릭 부탁드립니다. ^^


  • 안녕하세요. 백창준 과학전문가입니다.

    바이러스는 생명체가 아닙니다.

    생명체의 특징을 모두 갖고 있진 않기 때문이에요. 세포 구조로 이루어져있지도 않고, 물질대사는 숙주의 몸에 들어갔을 때만 진행된다는 부가 조건이 필요하니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