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 버스 운행 시절에 왜 여성 버스 도우미가 있었던 것인가요?
당시에도 버스 정차역은 있었을 테니 코스마다 돌면서 역마다 정차하여 내려주면 될 일을 왜 굳이 여성 도우미가 필요하였던 것인가요? 그 당시 기술로도 벨을 설치하여 손님들이 누르는 것을 설치 가능하였을 것 같은데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버스안내양은 1961년 6월 17일 김광옥 교통부장관이 여차장 제도를 도입하면서 시작, 1980년대 말까지 존재했습니다.
이들의 역할은 버스에서 승객에게 하차지를 안내하고 버스 요금을 받으며 출입문을 열고 닫는 역할, 푸시맨 역할을 하기도 했습니다.
당시 버스기사나 승객에게 있어 많은 편의성을 제공해주던 직업이었는데 현재의 버스기사는 운전부터 승객 승, 하자 확인까지 맡아야 하지만 안내양이 있으면 이런 관리적인 부분을 안내양이 보조해주기때문에 운전에만 전념할수 있었고, 당시는 문이 하나였거나 두개일지라도 승차 전용 입구에서 안내양이 돈을 받고 태워줬기 때문에 요금 징수를 기사가 신경쓸 필요가 없었습니다.
또 승객에게는 안전한 하차를 보장해줬는데 아무리 출입문에 거울과 중문 안전센서가 있어도 인간이 육안으로 확인하는 것보다 못하기 때문입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1970년대만 해도 시내 버스에 차장 혹은 안내양 이라고 해서 버스 도우미가 탑승 했습니다. 그때는 버스를 탈 때 뒷문으로만 타고 내렸습니다. 그래서 하차 할 떄 버스 안내양에게 차비등을 주고 내렸지요. 당시에는 버스 안에 벨리 없었습니다. 내릴려면 안내양에게 내린 나고 소리를 지르곤 했지요. 지금은 아득한 추억으로만 남아 있는 모습입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