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신경과·신경외과 이미지
신경과·신경외과의료상담
신경과·신경외과 이미지
신경과·신경외과의료상담
의연한청설모116
의연한청설모11624.03.16

갱년기 이후로 몸의 변화가 심해지는데 어떤 진료를 받아야하나요?

나이
53
성별
여성
복용중인 약
없음
기저질환
없음

갱년기 이후 몸이 화끈거리며 상체에 열감이 있고, 손발이 뜨껍고,

몸이 전체적으로 건조하고 가렵네요.

몇달전 건강검진에서 고지혈증관리하라는

내용이 있었습니다. 척추측만으로 허리가

무겁고왼쪽다리가 가끔 저린증상이 있습니다.오른손가락 끝에 감각이 둔한 느낌이

잠깐 있기도 했어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증상들이 서로 연관성이 떨어져 보이며 하나의 원인에 의한 것이라고 단정짓기 어렵습니다. 갱년기와 관련된 부분에 대해서는 내분비대사내과에서 진료 및 치료를 받아보시면 되겠으며, 허리 쪽의 문제는 신경외과나 정형외과 쪽으로 가시면 되겠습니다. 손가락의 감각이 둔해진 것에 대해서는 신경과의 영역에 해당하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신성현 의사입니다.

    여성 갱년기의 치료로는 호르몬 보충 요법이 효과적입니다. 이는 폐경 증상을 완화하고 비뇨생식기계의 위축을 막아주며, 골다공증으로 인한 골절을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여성 호르몬을 투여하면 골밀도가 증가하여 골절이 감소한다는 연구 결과도 있습니다. 따라서 호르몬 보충 요법은 폐경 후 골다공증을 예방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또한 이 치료는 폐경 후 피부의 탄력과 두께를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되며 대장 직장암 발생률을 감소시키는 것으로도 알려져 있습니다. 다만, 과거에 호르몬 의존성 종양이 있었던 사람은 이 치료를 피해야 합니다.

    그 외에도 간부전증이 심한 경우, 담낭 질환이 진행 중이거나 혈관 색전증이 있는 경우, 진단되지 않은 비정상 자궁 출혈이 있는 경우에는 호르몬 요법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다른 약물이나 생활 방식의 변화를 통해 증상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

    갱년기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흡연을 삼가고, 균형 있는 식사와 적절한 운동이 중요합니다. 골다공증을 예방하기 위해 고칼슘 식품을 섭취하고 칼슘 제를 복용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술과 탄산음료를 삼가고 저지방, 저염식을 실천하여 심장 질환 위험을 줄이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주 3회씩, 적어도 20분 정도의 유산소 운동을 하면 심장 건강과 뼈 건강에 도움이 됩니다. 산책이나 수영과 같은 전신 운동을 추천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눌러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의사입니다.

    허리와 관련된 증상은 해당 과에 방문해서 진료 및 처치 받으시고

    갱년기와 관련된 증상은 산부인과 방문하셔서 치료 상담하십시오.


  • 안녕하세요. 채홍석 의사입니다.

    우선 호르몬 치료를 받아주세요

    건강검진에서 자궁경부암 검사나 유방암 검사는 완료하셨지요?

    이후 많은 증상이 호전이 될 것입니다

    경과를 관찰해주시고 남아있는 증상에 대해서 다시 진료를 받아주시면 됩니다

    추천 좋아요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