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덤블링하는 낙타
덤블링하는 낙타
22.12.15

생체 리듬에 대해 질문 드립니다

생체 리듬에 대해 궁금해서 질문드립니다. 만약에 예를 들어서 밤낮만 바뀐 상태로 식사, 수면패턴, 사생활 등 다 규칙적이게 생활하면 생체리듬이 건강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위대한거북이239
    위대한거북이239
    22.12.16

    밤에는 잠을 자는 호르몬인 멜라토닌이 분비되게 됩니다.

    이러한 멜라토닌이 질 높은 수면을 유도하게 됩니다.

    하지만 낮과 밤이 바뀌어 버리면 멜라토닌이 잘 분비되지 않게 됩니다.

    따라서 규칙적이더라도 밤낮이 바뀌면 생체 리듬이 건강하지는 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그렇지는 않습니다. 호르몬이 나오는 시간대가 다르기 때문입니다. 우리 인체는 낮과 밤에 맞춰서 분비되는 호르몬이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의 작용 또한 반대로 되기 때문에 건강에 좋지 못할것입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22.12.15

    안녕하세요. 이영준 과학전문가입니다.

    생체리듬은 생체내 24시간 주기로 일어나는 생체의 현상입니다

    생체에 내재된 현상이지만 빛과 온도같은 외부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기도 합니다

    따라서 밤낮이 바뀐상황 자체가 생체리듬에 좋지않을 수 있을것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생체리듬은 하루 24시간을 주기로 일어나는 생체 내 과정을 의미한다. 24시간 주기의 리듬은 생체시계에 의해 조절되며, 단세포 생물부터 동물 및 식물에 이르기까지 모든 생명체에서에서 발견되는 현상이다. 넓게 보면 한달부터 1년, 혹은 일생을 아우르는 생체리듬이 존재하지만, 최근에는 24시간에 맞춰 움직이는 일주기 생체리듬을 생체시계로 범위를 좁혀 정의하고 있다. 생체리듬은 생체에 내재된 현상이지만, 빛, 온도, 산화 환원 사이클 등과 같은 외부환경에 의해 조정되기도 한다. 생체리듬(circadian rhythm)은 라틴어로 ‘circa'(근처 또는 대략적인)와 ‘diēm'(하루)를 합성한 단어이다. 2017년의 노벨 생리의학상은 생체리듬을 조절하는 분자기작을 발견한 제프리 홀(Jeffrey C. Hall), 마이클 로스바시(Michael Rosbash), 마이클 영(Michael W. Young)이 수상하였다.1)


    역사

    생체리듬에 대한 가장 오래된 기록은 기원 4세기 전 알렉산더 대왕 시절 원정대를 이끈 선장 안드로스테네스(Androsthenes)가 남긴 것이다.2) 콩과 식물 중 하나인 타마란드 나무 잎을 관찰하면서 낮에는 수평상태를 유지하다가 밤에는 수직에 가깝게 위치가 바뀌는 현상을 관찰하고 기록하였다. 드 마랭(Jean-Jacques d'Ortous de Mairan)은 미모사의 잎이 낮에는 벌어지고, 밤이 되면 건드리지 않아도 접힌채 늘어지는 현상을 관찰하였다. 처음에는 이러한 현상이 빛에 의해 일어나는 것이라 생각했지만, 어두운 암실에서도 24시간 간격으로 잎이 벌어지고 닫히는 현상을 관찰된다. 생체리듬을 조절하는 생체시계의 분자생물학적 기작에 대한 연구는 1970년대 생체리듬이 바뀐 초파리 돌연변이를 연구하면서 시작되었고, 1990년대에는 포유동물에서도 생체시계 유전자를 발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