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1.29

화장을 하는 장례는 언제부터 시작된 문화인가요

안녕하세요. 전통적으로는 땅에 묻어주는 장례 문화인거 같은데요. 요즘은 화장을 많이 하잖아요. 언제부터 시작된 문화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든든한소쩍새224
    든든한소쩍새22423.01.29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원래 불교에서 유래한 장례법인 만큼,

    불교에서는 인간의 육체를 정화하는

    의미가 담겨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삼국시대 불교를 받아들이면서

    장례문화로 들어와 고려시대까지

    화장을 했다. 불교에서 화장은

    다비식이라고 부른다.


    -출처: 나무위키


  • 안녕하세요. 이승원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장례 의식 중 화장이 언제부터 시작되었는지 궁금하군요.

    우리나라에서 화장의 흔적은 신석기시대부터 발견된다. 불교가 들어오고 나서 5세기경부터는 화장한 다음 뼈를 추려 용기에 담아 매장하는 화장묘火葬墓의 풍습이 생겨났다. 7세기 중엽에 이르면 불교의 영향권 속에서 화장이 본격적인 장법으로 조명되기 시작하며, 기록상 최초로 화장된 이는 신라의 승려 자장慈藏(590~658)으로, 화장 후 석혈石穴에 유골이 안치되었다.

    [네이버 지식백과] 화장 [火葬] (한국일생의례사전)


  • 안녕하세요. 박일권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는 전통적으로 매장 문화가 주를 이뤘습니다.

    그러다가 1980년대에 들어서부터 화장문화가 발달하기 시작했고,

    현재는 주로 화장으로 진행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천지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대한민국은 과거에는 유교의 영향으로 전통적으로 매장을 선호하는 경향이 강했습니다. 1990년대만 해도 청소년, 청년 연령대의 사고사, 자살 과 같은 악상의 경우에만 화장이 이루어졌었습니다.

    그러나 현재는 좁은 국토로 인해 매장 가능지가 부족해질, 묘지를 관리하기도 힘들다는 인식이 퍼지면서 화장의 비율이 급속히 높아졌습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화장을 불교식 장례로 보았을 때, 우리나라는 불교가 전래된 삼국시대부터 시신을 불에 태워서 처리하였다고 합니다. 문헌과 발굴 자료를 통해서 삼국 시대에 화장 사례를 살펴볼 수 있다고 하지요. 해방 이후에 화장이 주춤하는 사이 매장은 다시 증가하였습니다. 1970년 화장률은 10.7%에 불과하였고, 1981년 13.7%, 1991년 17.8%에 머물렀다고 합니다. 그러나, 1990년대부터 점차 화장율이 증가하여 2001년에는 38.3%에 이르렀고, 화장율 증가 추세가 지속되면서 2009년에는 65%에까지 이르렀다.우리나라사람들이 화장을 본격적으로 이용한 것은 90년대 들어와서 부터 라고 보면 좋을 듯 합니다.